헤더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인사조직

다양성은 채용만으로는 달성할 수 없다

디지털
2021. 5. 10.
Apr21_13_1303781802

미국과 미국 기업에서는 직장 내 인종과 평등 문제에 대한 성찰이 한창입니다. 이에 따라 미국 전역의 기업들은 다양성 실현을 위해 헌신적인 노력을 하겠다고 공표하고 있어요.

하지만 다양성에 대한 논의가 이전부터 이뤄졌음에도 시행이 쉽지만은 않았습니다. 2014년에 테크 자이언트들이 다양성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하기 시작했지만 지금까지 큰 진척을 보이지 못했어요. 페이스북의 흑인 근로자 비율을 예로 들어보자면 2014년에 3%였던 것이 2020년이 돼서야 3.8%가 됐죠. 사실 이 문제는 테크 기업 이외의 곳에서는 더 오래전부터 더 크게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1985년부터 2016년 사이에 미국 대기업에 종사하는 흑인의 비율은 3%에서 3.2%로 불과 0.2%가 증가했을 뿐이었죠.

노력을 하는데도 큰 성과를 보지 못하는 이유는 뭘까요? 의미 있는 진척을 보이기 위해서는 고용주들이 채용보다는 사내에서 다양한 인재를 양성하는 데 필요한 내부 에스컬레이터 시스템의 구축에 집중해야 합니다.

많은 기업이 다양성을 추구를 계획하지만 신규 채용에만 너무 집중하는 것이 문제입니다. 예를 들어, 구글이 1억7500만 달러를 투자한 다양성 강화를 위한 계획에서 첫 두 항목은 모집과 고용이었지만 타깃은 다양한 배경을 지닌 사람들에 대한 채용을 20%까지 늘리는 것이었어요. 마찬가지로, 같은 해에 역사적으로 흑인들의 대학이었던 곳에서 근로자를 모집하는 기업들의 숫자가 급격하게 증가했습니다. 이는 놀랍고 감탄할 만한 성과였죠. 하지만 기업이 외부 인재 시장에 눈길을 돌릴 때, 이들은 다양한 인재에 대한 풀이 고정돼 있고 이로 인해 제로섬 게임에서 경쟁하게 된다는 잘못된 가정을 하게 되죠. 미국 인구조사국의 발표에 따르면, 수의사들의 5%, 보험계리사들 중 6%, 비행기 조종사에서는 9%가 유색인종이라는 결과가 있습니다. 이처럼 여러 가지 전문직에서 소수자와 여성의 참여율이 낮을 수 있음을 감안하면 다양성을 추구하기 위해 고용을 촉진하는 방법은 단기적 효과보다는 장기적 계획 정도로 봐야 해요.

그런데도 많은 기업은 다양한 업무 환경을 만드는 데 가장 큰 잠재적 자산이 기존의 자사 직원들임을 간과하고 있습니다. 다양성은 조직 전반에 걸쳐 고르게 펼쳐지지 않아요. 맥킨지에서 2018년에 시행했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여성과 유색인종이 말단직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64%나 되지만 임원직에서는 32%에 불과하죠.

다양성을 촉진하는 더 유망하고 적합하며 즉각적인 방법 중 하나는 직원들을 재교육해서 현재 대부분 백인 또는 남성들이 차지하고 있는 직무로 이동시키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인재 개발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이 필요하죠. 기업들은 학습과 개발에 많은 비용을 투자하지만 대부분 시스템, 제품 지식, 규정 준수 교육, 단순히 근로자들이 고용계약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교육 혜택을 주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요. 다양한 인력을 모집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기업들도 근로자들이 승진하는 데 도움이 될 적절한 교육을 제공하는 일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투자를 합니다. 일단 입사를 하면, 그때부턴 혼자 알아서 해야 하죠. 신규 채용에만 집중을 하면 승진 기회를 차단하기 때문에 결국은 조직도 아래에 위치한 노동자들에게 의도하지 않은 유리천장을 만들게 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됩니다.

내부에서 다양한 인재를 육성하는 건 어려운 일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은 단계적으로, 기술별로 경력을 쌓아요. 두 가지 직무에서 사용되는 기술들이 어떻게 겹치거나 서로 유사한지 이해하면 기업들은 직원들이 기술과 다양성 사이의 격차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육을 만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구 조사 데이터에 따르면 급여/복리후생 분석가들 중 아프리카계 미국인, 히스패닉, 원주민은 27%이지만 중복되는 직무 기술이 많음에도 재무 분석가들 중에는 15%밖에 되지 않습니다. 예산 편성 및 재무 보고 분야에서 급여 분석가를 교육하면 사내 형평성을 신장시키고 직원들에게 실질적인 수익을 제공해 3만1000달러(약 3720만 원)의 연봉 인상 등 급격한 발전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아티클을 끝까지 보시려면
유료 멤버십에 가입하세요.
첫 달은 무료입니다!

최신 매거진

(03187) 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1 동아일보사빌딩 (주)동아일보사
대표자: 김재호 | 등록번호: 종로라00434 | 등록일자: 2014.01.16 | 사업자 등록번호: 102-81-03525
(03737) 서울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동아일보사빌딩 15층 (주)동아미디어엔(온라인비즈니스)
대표이사: 김승환 | 통신판매신고번호: 제 서대문 1,096호 | 사업자 등록번호: 110-81-47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