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년 동안 한국은 글로벌 무대에서 문화 강국으로 부상했다. 블랙핑크BLACKPINK와 방탄소년단BTS 같은 K팝 그룹은 세계적인 메가스타가 됐으며 특히 BTS는 한국 경제에 한 해에만 약 50억 달러의 기여를 한 것으로 추산된다. TV 시리즈 ‘오징어게임’은 공개 30일 만에 전 세계 1억1100만 회 이상의 조회 수를 올려 넷플릭스 역사상 가장 많은 조회 수를 기록했다. 한국은 각종 수상 경력에 빛나는 K영화와 K드라마를 꾸준히 배출하고 있고, 현대미술계에서도 반짝이는 예술가들이 활약하며, 세계 4위 규모의 게임 산업을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K뷰티 시장은 2030년까지 183억20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오해해선 안 된다. 오늘날 중요한 지정학적 자산이 된 결과물들은 그저 운이 좋았기 때문이 아니다. 한국은 지난 20년에 걸친 효과적인 전략과 실행을 통해 세계에서 가장 매력적인 브랜드인 K브랜드를 탄생시켰다.
1994년 당시 김영삼 대통령에게 전달된 자문 보고서는 블록버스터 영화인 <쥬라기 공원> 한 편이 현대자동차 150만 대를 판매한 것과 맞먹는 돈을 벌어들였다고 지적했다. 김 전 대통령은 한국이 그동안 경쟁력을 쌓아온 중저가의 공산품 생산에서 벗어나 글로벌 문화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대대적인 변혁을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수년에 걸친 대대적인 노력으로 문화부(현 문화체육관광부) 예산은 꾸준히 증가해 2022년 60억5000만 달러로 늘었다. 이는 같은 해 프랑스 문화부 예산 46억 달러보다 약 3분의 1이 더 많은 수준이다. 한국콘텐츠진흥원KOCCA과 같은 정부 기관이 신설돼 해외 투자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섰고, 넷플릭스가 한국 콘텐츠에 25억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하는 등 해외 투자가 활발해졌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한국의 소프트 파워는 더욱 강화됐다.
하지만 K브랜드의 성공은 막대한 투자 규모 때문만은 아니다. K브랜드의 성공 비결을 공유해 기업가와 브랜드 관리자, 마케팅 임원에게 독특한 교훈을 전달하고자 한다.
1. 재미있고 빠른 소비자 발견comsumer discovery을 장려한다.
한국의 혁신을 설명하기 위해 전문가들은 2021년 GDP의 4.9%를 차지했을 정도로 막대한 한국의 R&D 투자나 높은 도시 인구밀도를 지적하기도 한다. 이로써 최신 제품을 선보이고, ‘최초’로 선보인 제품이 높은 가치를 인정받는 경쟁 환경을 만들었다고 주장한다.
아티클을 끝까지 보시려면 유료 멤버십에 가입하세요. 첫 달은 무료입니다!
Copyright Ⓒ 하버드비즈니스리뷰 코리아.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