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자기계발 & 데이터 사이언스

데이터 시대의 교양

매거진
2017. 7-8월(합본호)

EXPERIENCE SYNTHESIS

데이터 시대의 교양

J.M. 올레야즈J.M. Olejarz

 

자연과학은 왜 인문학을 필요로 하는가

 

158_1

 

 

인문학을 전공하는 대학생이라면 꼭 받는 질문이 있다. 워낙 많은 사람에게 자주 듣는 말이라 학위증에 인쇄해야 할 정도다. 친구, 진로상담사, 가족의 그 단골 질문은 바로졸업하면 뭐 할 거야?” 사실 이 말은인문학이 무슨 쓸모가 있어?”를 의미한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최근 출간된 책 세 권은 인문학이굉장히 많은쓸모가 있다고 답한다. 실리콘밸리의 공학자부터 펜타곤의 군인까지, 모든 분야의 종사자들이 현대의 사회적, 기술적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려면 인간적 맥락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느끼고 있다. 우연히도 이런 훈련을 받은 건 인문학 전공자들이다. 영화, 역사, 철학 덕후의 역습이라고 해도 좋겠다.

 

158_2

The Fuzzy and the Techie: Why the Liberal Arts Will Rule the Digital World

Scott Hartley

Houghton Mifflin Harcourt, 2017

 

“교양과목은 심층적 관찰이나 인터뷰 등 엄밀한 탐구와 분석의 방법을 가르치지만, 사실 자연과학지지자들은 그 진가를 모를 수도 있다.”

스콧 하틀리Scott Hartley

The Fuzzy and the Techie

 

에서, 벤처투자가 스콧 하틀리Scott Hartley는 인문학과 컴퓨터공학을 나누는이분법의 오류를 겨냥한다. 많은 기술 산업의 리더들은 STEM[1]분야를 제외한 전공이 디지털 경제에서 일하는 데 쓸모가 없다고 주장했다. “오늘날의 교양과목 중 미래에 유용한 내용은 거의 없다라는 선 마이크로시스템의 공동 창업자 비노드 코슬라Vinod Khosla의 말이 대표적이다.

 

하틀리는 이런 태도가 완전히 틀렸다고 믿는다. STEM 지상주의의 가장 큰 문제는 학생들이 교육에 직업적으로 접근하는 것이다. 이것은 자신이 준비하고 있는 직업의 관점으로 사고의 폭이 제한되는 결과를 만든다. 그러나 기술직의 진입장벽은 낮아지고 있다. 한때 전문 트레이닝을 요구했던 많은 업무는 이제 간단한 도구와 인터넷으로 수행 가능하다. 초보 프로그래머라고 해도 깃허브GitHub[2]에서 찾은 코드와 스택오버플로Stack Overflow[3]의 도움으로 프로젝트를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다.

 

저자는 거시적인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려면 교육과 흥미의 폭을 넓혀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인문학 학위를 가지고 성공적으로 기술기업을 이끄는 리더들을 사례로 제시한다. CEO 몇 명만 보더라도 커뮤니케이션 툴 기업 슬랙의 스튜어트 버터필드Stewart Butterfield는 철학을, 중국 e커머스 기업 알리바바의 잭 마Jack Ma는 영문학을 공부했다. 유튜브의 수전 보이치키Susan Wojcicki는 역사와 문학, 에어비앤비의 브라이언 체스키Brian Chesky는 순수미술 전공자였다. 기술 전문가도 물론 필요하지만, 인간 행동의 이유와 방식을 이해하는 사람도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보유한 기술의 종류보다는 생각하는 방식이 중요한 시대가 왔다. 정확한 질문을 할 수 있는가? 해결하려는 문제를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가? 하틀리는 자연과학과 인문과학의 주제를 포괄하는 진정한교양교육을 주장한다. 전인적인 교육은 새로운 경험을 열어 주고, 실제 인간의 필요에 답하는 상품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된다.

 

158_3

Cents and Sensibility: What Economics Can Learn from the Humanities

Gary Saul Morson and Morton Schapiro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7

 

노스웨스턴대 인문학 교수 게리 솔 모슨Gary Saul Morson과 경제학 교수 모턴 샤피로Morton Schapiro의 저서에서도 인간적 맥락이 핵심 주제다. 이들은 인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경우에 경제학 모델이 어긋난다고 주장한다. 경제학은 세 가지를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의사결정에 있어 문화의 역할, 사람의 행동을 설명하는 스토리의 유용성, 그리고 윤리적 사고다. 사람은 외부와 단절되어 살아가지 않으므로, 사람을 개별적 개체로만 인식하는 환원주의적 태도는 부정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모슨과 샤피로는 문학을 해결책으로 제시한다. 위대한 소설가는 사회과학자보다 인간에 대해 깊이 통찰하며, 경제학자는 이들의 작품으로부터 지혜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경제학자는 사람을 추상적인 개념으로 생각하는 반면, 소설가는 구체성을 파고든다. 과학자의 이론이나 사례 연구가 한 인간을 톨스토이의 <안나 카레리나>처럼 생생하게 보여준 바 있는가?

 

[1]과학(Science), 기술(Technology), 공학(Engineering), 수학(Math)의 약자로, ‘이과’의 통칭

[2]분산버전 관리 툴인 깃(Git)을 사용하는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웹호스팅서비스

[3]프로그래밍 정보 제공 사이트

 

아티클을 끝까지 보시려면
유료 멤버십에 가입하세요.
첫 달은 무료입니다!

관련 매거진

아티클이 실린 매거진

하버드비즈니스리뷰코리아 2017.7-8월(합본호) 세계화에 관한 진실 17,000원 15,300원

아티클 PDF

하버드비즈니스리뷰코리아 2017.7-8월(합본호) 데이터 시대의 교양 5,000원
  • ※ 아티클 PDF 구매는 월별 제공되는 PDF 다운로드 권한을 모두 사용하신 1년 또는 월 자동결제 서비스 구독자에 한해 제공되는 서비스입니다.
  • ※ 아티클 PDF 다운로드가 필요하신 분께서는 HBR Korea 서비스 구독을 신청하세요!
(03187) 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1 동아일보사빌딩 (주)동아일보사
대표자: 김재호 | 등록번호: 종로라00434 | 등록일자: 2014.01.16 | 사업자 등록번호: 102-81-03525
(03737) 서울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동아일보사빌딩 15층 (주)동아미디어엔(온라인비즈니스)
대표이사: 김승환 | 통신판매신고번호: 제 서대문 1,096호 | 사업자 등록번호: 110-81-47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