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혁신 & 지속가능성

고성장 추억 가진 한국기업, 지속가능성 접목 하려면?

매거진
2014. 4월

이번 4월 호 Spotlight에서 가장 눈에 띄는 기사는 ‘CFO도 사랑할 수 있는 지속가능성 모델을 찾아…’이다. 보통 재무와 지속가능성은 서로 상반되는 개념이라고 생각하기 쉽기 때문에 이 두 개념을 어떻게 연결했을지가 궁금했다. 더욱이 사회공헌이나 CSR 부서 책임자의 의견이 아닌 CFO의 의견을 들을 수 있어서 반가울 따름이다. 세미나 장에서 발표되는 CEO의 선언적 의견과는 다른, 실질적인 고민이 묻어나는 UPS CFO의 주장이 필자의 고개를 끄덕이게 한다.

 

CFO를 포함한 자원배분 의사결정자들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실행력 확보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절대적이다. 글로벌 기업과 국내 기업을 동시에 자문해 온 필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 글의 의미와 한국에 적용할 때 생길 수 있는 문제점, 그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제언해 국내 기업의 지속가능성 확보에 도움이 됐으면 한다.

 

기업 경영에서 지속가능성은 어떤 의미를 갖는가?

지난 214일 애플 CEO 팀 쿡은 주주총회에서 투자자들에게기후변화보다 ROI(return on investment) 같은 수익 지표에만 관심을 두고 애플에 투자한다면 그런 투자금은 더 이상 환영할 수 없다는 의견을 밝혔다. 이는 미국 NCPPR(National Center for Public Policy Research•공공정책연구센터)이 애플에 한 질문에 대한 답변이었다. NCPPR은 기후변화 대응 전략(: 사용 에너지 100%를 친환경적 방법으로부터 확보하려는 계획) 같은 지속가능성 프로그램이 기업 손익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만큼 투명하게 공개하고 적절한 수준에서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지속가능성 이슈는 비단 애플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갈수록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사회적 책임(CSR)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요구가 거세지면서 금전적 기부만으로 대처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많은 국내 기업들도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적절한 수준의 사회적 책임이 무엇인지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다.

 

기업들은 지금까지 추진해온 사회공헌 활동의 경제적 효과에 대해 많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이 둘 간의 관계를 증명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와 사례 발표가 이어졌지만 아직까지 명확한 답을 찾을 수는 없었다. 그런데 UPS CFO인 커트 쿠엔은 이 이슈와 관련, 사회공헌을 ROI 같은 기존 재무평가모형으로 분석하는 것의 한계를 지적했다. , 데이터 수집과 무형적 수익 측정의 어려움, 회수 기간의 장기성으로 인한 기술적 한계 때문에 기존 재무 모형에 의존한 평가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견해다. 그는 대안적 분석 방법으로자사 핵심역량 증대여부를 제시하며 사회공헌을 자사 경영활동과 연계해 추진하라고 제안했다. 기업이 잘하는 분야에서 사회공헌을 추진하면 소요 비용과 실수를 줄일 수 있고 효과는 높아져 효율 극대화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 기업은 자사의 역량을 계속적으로 증대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어 사회공헌 수혜자와 공여자가 모두윈윈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그는 기업의 핵심역량과 부합하는 분야에서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자는 제안을 하면서최소 노력, 최대 효용을 지향하는 무술인 유도와 비교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 직접 적용하기에는 다양한 문제들이 선결돼야 함을 동시에 느꼈다.

 

우리 실정에 어디까지 적용할 수 있을까?

쿠엔은 집중해야 할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선정하는 과정을 ‘UPS의 위치 선정법(박스 기사)’을 통해 설명했다. 기업을 둘러싼 환경, 경제, 사회적 지속가능성 이슈들을 나열하고 이를사업 성공에 끼치는 영향이해관계자들이 보는 중요성으로 분류해 중요도를 설정하는 것이다. 이는 지속가능성보고서(Sustainability Report)를 작성하는 기업들에는 익숙한 매트릭스다. 지속가능성 보고를 위한 대표적 국제 가이드라인인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에서 제시된 방법으로, GRI는 중요한 이슈에 집중해 관리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 이해관계자 요구와 기업이 장수하기 위해 핵심적으로 관리해야 할 이슈가 겹치는 부분에서 사회적 책임 활동을 우선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하지만 국내에서 지속가능성보고서를 개발하는 기업들 상당수는 이런 이슈들을 면밀히 분석해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향후 우리 기업들이 지속가능성 달성을 위한 CSR 활동 추진을 위해 반드시 관심을 기울여야 할 부분이다.

 

한국 기업들의 어려움은 어디서 오는 것일까. 첫째, 우리는 과거 오랜 기간 고성장시대에서 성장해 온 DNA를 그대로 가지고 있다. 단기적이고 직접적인 성과에 눈높이가 맞춰져 있다. 이에 따라 장기적이고 간접적인 성과와 관련이 깊은 사회적 책임은 회사 내에서 힘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사회적 책임의 핵심인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회사 내 많은 의사결정자들을 설득하기에 논리가 부족하다.

 

둘째, 많은 한국 기업들은 고성장시기에 매우 효과적이었던 1인 의사결정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CEO의 관심을 끌지 못하는 계획은 추진하기가 매우 어렵다. 사회공헌 활동이 기업 경쟁력, 재무성과 향상에 구체적으로 기여한다는 점을 설득하기 쉽지 않은데다 특정 부서의 업무로만 인식되고 있기에 그 중요성에 비해 CEO의 관심을 받지 못하는 사례를 자주 볼 수 있다. 그러다 보니 제한된 인력과 예산만으로 CSR 활동을 펼치는 기업들이 대부분이다.

 

아티클을 끝까지 보시려면
유료 멤버십에 가입하세요.
첫 달은 무료입니다!

관련 매거진

아티클이 실린 매거진

하버드비즈니스리뷰코리아 2014.4월 THE RESILIENT COMPANY
더워지는 지구, 유연한 기업만이 살아남는다
17,000원 15,300원

아티클 PDF

하버드비즈니스리뷰코리아 2014.4월 고성장 추억 가진 한국 기업, 지속가능성 접목하려면 5,000원
  • ※ 아티클 PDF 구매는 월별 제공되는 PDF 다운로드 권한을 모두 사용하신 1년 또는 월 자동결제 서비스 구독자에 한해 제공되는 서비스입니다.
  • ※ 아티클 PDF 다운로드가 필요하신 분께서는 HBR Korea 서비스 구독을 신청하세요!
(03187) 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1 동아일보사빌딩 (주)동아일보사
대표자: 김재호 | 등록번호: 종로라00434 | 등록일자: 2014.01.16 | 사업자 등록번호: 102-81-03525
(03737) 서울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동아일보사빌딩 15층 (주)동아미디어엔(온라인비즈니스)
대표이사: 김승환 | 통신판매신고번호: 제 서대문 1,096호 | 사업자 등록번호: 110-81-47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