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운영관리 & 전략

한국형 애자일 조직, 클라우드 협업 툴로 시작하라

매거진
2018. 3-4월(합본호)

한국형 애자일 조직, 클라우드 협업 툴로 시작하라

장은지

-Commentary on spotLight 보기 전 spotLight 기사 먼저 보기
  > HR, 애자일을 도입하다'
 
  > 직원 경험 함께 만들기

 

 

애자일 방법론은 IT업계에서 대두된새로운 일하는 방식이었다. 과거 IT업계는 계획 수립과 장기적인 프로세스를 통한 폭포수waterfall 방식으로 소프트웨어 개발에 임했다. 하지만 대부분의 프로젝트가 방대한 계획 수립을 바탕으로 진행되다 보니 프로세스를 따라가기 급급해, 소프트웨어 개발이라는 본연의 업무나 고객 대응에 소홀해지는 측면이 있었다. 예상치 못한 오류 발생과 작업 지연으로 납기일 수일 전부터 밤을 새우기 일쑤였다. 이런 병폐를 해결하고자 2001년 켄트 벡, 마틴 파울러, 로버트 마틴 등 미국 최고의 프로그래머로 꼽히던 이들이 한 스키리조트에 모여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선언(Manifesto for Agile Software Development)’을 발표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1]

 

•공정과 도구보다 개인과 상호작용을

•계획을 따르기보다 변화에 대응하기를

•포괄적인 문서보다 작동하는 소프트웨어를

•계약 협상보다 고객과의 협력을

 

이번 호 스포트라이트 아티클은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선언이 더 이상 IT업계에 국한되는 게 아님을 보여준다. 이제 애자일 방법론이 단순히전략과 혁신’, 그리고 ‘HR방법론을 넘어 미래 조직의 운영 방정식을 대변하는 방법론으로 각광받고 있다는 얘기다. 실제로 최근 글로벌 선진기업뿐만 아니라 국내 기업의 조직구조 및 조직관리 변화에서도 이 방법론을 앞다퉈 도입하고 있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

 

애자일 개발선언은 기존에 뿌리내린 제조업 기반의 업무 방식을 바꾸고자 하는 움직임이었다. 기존 산업지형에서 기업들이 추구해온 위계적 조직관리 방식의 부작용을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가 담겼다. 따라서 이는 현재 경영환경에도 어렵지 않게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작동하는 소프트웨어라는 용어를실질적인 고객가치 산출물 또는 서비스라는 용어로 대체해 보자. 어떠한가? 소프트웨어 종사자가 아닐지라도 이 내용에 공감하기는 어렵지 않다. , 과거 제조업 기반의 시장에서는 비용절감, 효율증대가 중요했지만 현재의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고객의 니즈에 얼마나 빠르고 적시에 대응하는지가 무엇보다 중요해졌다는 뜻이다. 이러한 기술·소프트웨어 업계뿐만 아니라 대부분 산업에 중요한 과제다. 애자일은 그러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변화의 시작점이자 토대인 셈이다.

 

그렇다면 애자일을 새로운 조직운영의 방정식으로 도입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어떤 의미일까? 맥킨지가 2017년 말 발간한애자일 조직의 5가지 특징(The 5 trademark of Agile Organization) 보고서에 그 내용이 정리돼 있다. 필자는 이 글에서 애자일 조직의 특징을 좀 더 쉽게 풀어 설명하면서 이러한 변화가 과거와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800_18_34_114_G1

첫째, 애자일 조직의 전략은 과거의 전략수립 방식과는 다르다. 과거 기업들은 ‘10년 후의 매출목표와 같은 중장기적 계획을 세웠다. 예를 들면, ‘매출 10조의 시장 1를 달성하기 위한 3~5개년 단위의 전략을 수립하고는 했다. 그러한 중장기 전략 수립에 최소 6개월이 넘는 시간이 걸린다. 이렇듯 매년 중장기 실행전략을 세우는 데 더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이런 과정에서 부작용이 나타나기도 했다. 전략이 얼마나 잘 조직에 투영되고 있는지보다는 전략 자체가 얼마나 논리적으로 맞는지, 멋진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지가 더 중요해지는 상황이 벌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애자일 조직에서는 더 이상 이러한 중장기 전략을 수립하지 않는다. 전략을 개념화, 문서화하는 것도 중요시하지 않는다. 이제는 전략 수립에 근거로 사용되는 시장 예측의 가정들이 몇 개월만 지나도 유효하지 않는 시장환경에 처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는 HR 분야도 예외가 아니다. 장기적인 전략을 뒷받침할 5개년 인력계획은 쓸모가 없어졌다. 애자일 조직의 HR에서는 지금 가장 시급한 프로젝트에 우선적으로 지원돼야 할 인재를 조직 외부에서든 내부에서든 빠르고 정확하게 찾아 공급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다.

 

한국 기업에서는 여전히 연간 상당 부분의 시간을 전략 수립에 쏟고 있는 상황이 자주 목격된다. 전략 수립의 프로세스가 관료주의의 비효율과 맞물려 아래에서 위까지 올라가는 데 3개월이 넘게 소요된다. 이를 오너나 CEO가 허가하고 실제 조직의 목표관리MBO 및 실행과제로 내리는 데 또 몇 개월이 걸린다. 반면, 애자일 조직의 전략은 기본적인 조직의 가치관, 비전 아래 단위조직이 시장의 변화를 즉시 포착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실질적인 실행 가이드의 개념이 된다.

 

애자일 조직의 두 번째 특징은 권한위임을 받은 단위조직으로 이뤄진 조직구조다. 애자일 조직은 극단적으로 경영진/관리자 계층을 없애거나 대폭 축소한다. 매우 슬림하고 수평적인 조직체계로 바꿔버리기도 한다. 고객과 가장 인접한 조직이 의사결정권한을 가질 때 전략이 실행력을 가진다는 것을 많은 조직이 깨닫기 시작했다. 다만 관료주의가 뿌리 깊은 기업 내부의 문화와 관행이 실행을 방해한다. 오랫동안 관리와 통제를 통해 조직이 성장하는 것을 경험해 왔기 때문에, 그 의사결정을 아래로 위임한다는 것은 경영진에게 매우 불안하고 힘든 변화일 수밖에 없다.

 

한국 기업은 더군다나 압축적으로 성장해 왔기 때문에 이런성공의 함정에 더 깊이 빠져 있다. 그래서 심지어 정반대의 길로 가기도 한다. 상당수 기업이 급변하는 시장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오히려 CEO 중심 통제 또는 하향식 재무 통제를 더욱 강화하는 형태로 움직이고 있을 정도다. 일하는 방식을 개선하고 수평적 조직을 구성해야 한다는 필요성에 공감하면서도, 정작 현재 상황은 반대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는 말이다. 성과에 대한 압박과 책임에 대한 부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까닭이다. 하지만 이번 호 아티클에서도 언급됐듯, 한국기업들이 오랫동안 귀감으로 여겨왔던 GE가 결국 하향식 재무 통제를 줄이고 각 팀에 권한을 위임하는 형태의패스트워크스fastworks로 운영방식을 전환했다는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애자일 조직의 세 번째 특징은 빠른 의사결정이다. 애자일 조직의 성과목표는 성공 가능성을 높이고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실패할 수 있다는 걸 알지만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다만 시장의 변화에 빠르게 대처하면서 과정을 통해 실패를 학습하고, 이를 통해 더 빨리 시장에 고객 니즈에 더 가까운 제품과 서비스를 내놓는 것이 목표다. 린 스타트업의 개념과 동일하다.

 

우리 기업은 어떠한가? 빠른 의사결정이 필요하다는 데 모두가 동의하고 있으나, 실제 의사결정의 속도는 그렇지 못하다. 이러한 상황에는 앞에서 언급한 관리통제 강화가 또다시 발목을 잡는다. 관리/스태프 조직이 비대해질수록 회의에서 사업조직이 추진하려고 하는 일에 대해 관리조직이 규정과 절차를 따지고 들어온다. ‘선의로 가득한 방해가 이뤄진다. 관리조직으로서 리스크를 회피하기 위한 검토가 길어질수록 의사결정은 늦어지고, 그 과정에서 시기를 놓친 의사결정이 실제 사업 손실로 연결되기도 한다. 리스크를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오히려 리스크를 키우는 결과를 낳는다. 그래서 애자일 조직은 리스크 최소화를 목표로 하지 않으며, 실패를 기꺼이 감수하고 속도를 택한다. 이러한 조직에서 중요한 것은 오히려 실패 후에도 빠르게 전열을 재정비하고 나설 수 있는 회복력이다.

[1]http://agilemanifesto.org/iso/ko/manifesto.html

아티클을 끝까지 보시려면
유료 멤버십에 가입하세요.
첫 달은 무료입니다!

관련 매거진

아티클이 실린 매거진

하버드비즈니스리뷰코리아 2018.3-4월(합본호) 더 강력한 브레인스토밍 25,000원 22,500원

아티클 PDF

하버드비즈니스리뷰코리아 2018.3-4월(합본호) 한국형 애자일 조직, 클라우드 협업 툴로 시작하라 5,000원
  • ※ 아티클 PDF 구매는 월별 제공되는 PDF 다운로드 권한을 모두 사용하신 1년 또는 월 자동결제 서비스 구독자에 한해 제공되는 서비스입니다.
  • ※ 아티클 PDF 다운로드가 필요하신 분께서는 HBR Korea 서비스 구독을 신청하세요!
(03187) 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1 동아일보사빌딩 (주)동아일보사
대표자: 김재호 | 등록번호: 종로라00434 | 등록일자: 2014.01.16 | 사업자 등록번호: 102-81-03525
(03737) 서울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동아일보사빌딩 15층 (주)동아미디어엔(온라인비즈니스)
대표이사: 김승환 | 통신판매신고번호: 제 서대문 1,096호 | 사업자 등록번호: 110-81-47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