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전략

챗GPT의 네트워크 효과는 얼마나 강력할까?

디지털
2025. 6. 30.
May25_13_chatgptnetwork

최근 챗GPT의 폭발적인 성장으로 일부에서는 “네트워크 효과가 본격적으로 작동하기 시작했다”는 얘기가 나온다. 사용자 수가 늘어나면서 더 많은 데이터를 확보하고 이는 더 나은 제품을 만드는 데 기여한다. 또한 GPT를 사용하는 사용자와 이를 개발하는 빌더 간에도 점점 더 많은 상호 이익이 생긴다. 이런 네트워크 효과는 오픈AI가 생성형 AI 제품 시장에서 선두 자리를 공고히 하려는 전략의 요소이자 최근 3000억 달러의 기업가치를 정당화하는 핵심 논거이기도 하다.

이제 진짜 중요한 질문은 이것이다. 과연 챗GPT가 대규모 언어모델(LLM) 시장을 지배할 수 있을 만큼 강력한 네트워크 효과를 가지고 있는가? 만약 그렇지 않다면 챗GPT는 결국 유사한 역량을 가진 여러 경쟁 서비스 중 하나로 남게 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그 높은 기업가치는 정당화되기 어려울 것이다.

필자는 네트워크 효과 기반의 비즈니스를 연구하고 초기 투자를 하는 학자로서 현재 챗GPT의 네트워크 효과가 상당히 약하다고 본다. 최근 성장은 주로 뛰어난 제품력, 영리한 마케팅, 바이럴 효과, 강력한 브랜드에서 비롯됐다. 이러한 요소들은 AI 경쟁 초기 단계에서 유리하게 작용하지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메타와 같은 막강한 빅테크 기업이 구축한 모델이나 딥시크DeepSeek, 라마Llama와 같은 오픈소스 대안과 경쟁하기에는 부족할 수 있다.

챗GPT가 시장에서 난공불락의 위치를 차지할 수 있는 가장 그럴듯한 방법은 바로 강력한 네트워크 효과를 활용해 현재의 선두 자리를 굳히는 것이다. 데이터 기반 네트워크 효과는 제한적일 가능성이 높지만 교차 네트워크 효과에는 상당한 성장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를 통해 오픈AI는 챗GPT를 애플의 iOS/앱스토어처럼 하나의 플랫폼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

아티클을 끝까지 보시려면
유료 멤버십에 가입하세요.
첫 달은 무료입니다!

최신 매거진

(03187) 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1 동아일보사빌딩 (주)동아일보사
대표자: 김재호 | 등록번호: 종로라00434 | 등록일자: 2014.01.16 | 사업자 등록번호: 102-81-03525
(03737) 서울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동아일보사빌딩 15층 (주)동아미디어엔(온라인비즈니스)
대표이사: 김승환 | 통신판매신고번호: 제 서대문 1,096호 | 사업자 등록번호: 110-81-47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