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사가 이론적으로는 훌륭해 보이지만 또 하나의 악몽이 될 것이 분명한 전략을 세우고 있다. 또는 팀 회의 중인데 모두가 상사의 아이디어에 고개를 끄덕이고는 있지만 실패할 것 같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이런 순간에 의견을 말하려면 술책과 용기가 필요하다. 상사에게 대립하지 않고 우려를 표명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질문을 해야 할까 아니면 직접적인 주장을 해야 할까? 관계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요점을 전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살리나스는 갈등을 피하는 것이 당장은 편할지 모르지만 그 편함에는 대가가 따른다고 말한다. " ‘침묵을 지킨다면 어떤 결과가 초래될까'라고 스스로에게 물어보라. 이런 식으로 사고를 재구성하면 자신의 의견을 더욱 설득력 있게 말할 수 있고 망설임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보르돈은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자신의 힘을 인식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덧붙인다.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은 협상, 영향력, 의견 불일치의 핵심이다"라며 "이러한 기술은 자신이 다른 사람에게, 심지어 강력한 상사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데 달려 있다"고 말한다. 여기서부터 시작하자.
아티클을 끝까지 보시려면 유료 멤버십에 가입하세요. 첫 달은 무료입니다!
Copyright Ⓒ 하버드비즈니스리뷰 코리아.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