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I DID IT
유엔 산하기관을
기업처럼 운영한 리더
그레테 파레모
2018년 6월 노르웨이 집에서 자고 있던 나는 자정이 훨씬 지난 시간에 걸려 온 전화에 깼다. 뉴욕에 있는 유엔 본부의 최고위급 임원이었다. 그는 멕시코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유엔프로젝트조달기구(UNOPS)가 공식적으로 야당 후보를 지지하고 나섰다며 유엔 주재 멕시코대사가 공식 항의문서를 제출했다고 전했다. 이 기구는 내가 이끌고 있는 것으로, 그 항의는 말도 안 되는 내용이었다. 우리는 그저 그 후보가 당선 되면 반(反)부패 운동을 할 때 도와달라고 해서 그렇게 하겠노라고 답했을 뿐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식 항의가 제기되면서 멕시코 언론이 난리가 났다. 우리에게는 두 가지 선택지가 있었다. 거듭 사과를 하거나 아니면 우리는 잘못한 게 없다고 밝히는 것이었다. 평판이 달린 일이었기 때문에 민감한 사안이었다. 야당 후보가 패배할 경우 더욱 그랬다. 우리는 잘못이 없다는 확고한 태도를 유지하기로 했다. 유엔 사무총장은 유엔의 불편부당함을 재확인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한 달 후 야당 후보 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Andrés Manuel López Obrador는 대통령에 당선됐다. 그리고 취임 직후 UNOPS에 멕시코의 대통령 전용기 매각을 도와달라고 부탁했다. 검소한 정부의 모범을 보이기 위해서였다.
내가 2014년부터 맡고 있는 UNOPS를 이끌기 위해서는 매일같이 팽팽한 줄 위에서 정치적인 줄타기를 해야 한다. 하지만 정치로 인해 제1의 목표가 흐트러지는 건 용납할 수 없다. 그 목표는 우리가 계속해서 자체적으로 자금을 조달하고, 지속가능하며, 유엔의 기업적인 부분을 담당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폭넓고 다양한 고객을 상대하고 우리 같은 비정부기구에 어울리지 않는다고 여겨지는 프로젝트를 맡는 등 다각화를 진행하는 와중에도 본연의 임무에 충실한 것이다. 우리 기구는 얼마 전만 해도 파산 직전까지 가서 비틀거렸지만 지금은 스마트하게 성장하고 있다. 우리의 성취에서 교훈을 얻을 수 있다. 민간 부문에서 성공적인 턴어라운드 사례 12개를 대는 건 쉽지만, 비영리 부문에서 사례를 생각해내는 건 어렵다. UNOPS는 기강이 잡힌 문화와 위험 감수를 측정하는 접근방식을 만들어냄으로써 획기적으로 변화할 수 있었다.
아티클을 끝까지 보시려면
유료 멤버십에 가입하세요.
첫 달은 무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