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인사조직

심리적 안전감에 대한 잘못된 생각

매거진
2025. 5-6월호
MayJun25_FEA_Edmonson_1
ILLUSTRATOR Petra Erickson


심리적 안전감에 대한 잘못된 생각
조직을 잘못된 길로 인도하는 6가지 오해



내용 요약

문제점 심리적 안전감(팀원들 사이에 솔직하게 말해도 괜찮다는 공통된 믿음)이라는 개념은 널리 퍼져 있지만 종종 오해의 대상이 된다. 이 개념은 종종 ‘친절함’이나 ‘고용 안정성’과 동일시되거나, ‘명령으로 강제할 수 있다’는 오해를 받는다.

영향 이런 오해는 리더와 직원들 사이에 불만을 야기하고 건설적인 토론을 방해하며 궁극적으로 조직의 성과에 해를 끼칠 수 있다.

해결책 리더는 심리적 안전감이 무엇인지 명확히 알고 오해에 대응해야 한다. 리더는 대화의 질을 향상시키고 팀이 심리적으로 안전한 환경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진행 상황을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되는 구조와 의식을 확립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심리적 안전감, 즉 사람들이 안전하게 의견을 말할 수 있는 환경을 의미하는 이 용어는 한때 심리학 및 경영학 연구에서 잘 알려지지 않은 용어였다. 하지만 오늘날 이 개념은 매우 대중적이다. 수많은 관리자, 컨설턴트, 교육 회사가 심리적으로 안전한 작업장을 만들기 위해 열심히 노력해 왔고 이 주제에 대한 아티클도 수천 개를 넘어섰다. 이 분야에 상당한 전문지식을 가진 연구자로서 우리는 제품의 질적인 향상과 활발한 혁신, 성과 개선 등이 직원들의 노력에 달려 있다고 인식하는 조직들의 변화를 환영한다. 실제로 심리적 안전감이 성과를 향상시킨다는 연구결과는 광범위하고 강력하다. 그러나 심리적 안전감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그에 대한 오해도 함께 커지고 있다. 왜곡되거나 잘못된 생각과 기대 때문에 오히려 기업 활동이 방해를 받는 상황이 빚어지면서 심리적 안전감을 열렬히 지지하는 사람들조차 좌절감을 느끼고 있다. 예를 들어 리더들은 아이디어에 반발이 심한 참가자들이 심리적으로 안전하지 않다고 표현하면서 건설적인 토론이 방해되는 사례를 이야기한다. 이런 종류의 오해는 조직에 해를 끼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오해가 지속된다면 학습과 성과를 향상시키는 심리학적 안전의 목적을 훼손할 수 있다.

심리적 안전감이 무엇인지, 그렇지 않은 것이 무엇인지 진정으로 이해하는 리더는 팀원들에게 그 개념을 명확하게 전달하고 잘못된 가정이 파괴적인 힘을 얻기 전에 멈추게 하고, 사람들이 솔직함에서 얻을 수 있는 가치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우리는 리더들이 이런 노력을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이 아티클을 작성했다. 우리는 6가지 오해에 대해 설명하고 각 오해가 왜 방해가 되는지, 그리고 어떻게 대처할 수 있는지를 설명한 다음, 불확실한 세상에서 성공하기 위해 필수적인 강력하고 학습 지향적인 업무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청사진을 제시하고자 한다.

아티클을 끝까지 보시려면
유료 멤버십에 가입하세요.
첫 달은 무료입니다!

관련 매거진

아티클이 실린 매거진

하버드비즈니스리뷰코리아 2025.5-6월호 전략을 수립하는 더 나은 방법 25,000원

아티클 PDF

하버드비즈니스리뷰코리아 2025.5-6월호 심리적 안전감에 대한 잘못된 생각 5,000원
  • ※ 아티클 PDF 구매는 월별 제공되는 PDF 다운로드 권한을 모두 사용하신 1년 또는 월 자동결제 서비스 구독자에 한해 제공되는 서비스입니다.
  • ※ 아티클 PDF 다운로드가 필요하신 분께서는 HBR Korea 서비스 구독을 신청하세요!
(03187) 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1 동아일보사빌딩 (주)동아일보사
대표자: 김재호 | 등록번호: 종로라00434 | 등록일자: 2014.01.16 | 사업자 등록번호: 102-81-03525
(03737) 서울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동아일보사빌딩 15층 (주)동아미디어엔(온라인비즈니스)
대표이사: 김승환 | 통신판매신고번호: 제 서대문 1,096호 | 사업자 등록번호: 110-81-47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