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들은 좋은 직장과 뛰어난 성과를 발휘하는 팀을 만드는 데 세 가지 심리적 요소가 필수라는 것을 오래전부터 인식해 왔습니다. 자율성(autonomy), 역량(competence), 관계성(relatedness)이 바로 이들 요소이죠. 수십 년간의 연구를 통해 심리적 충족감을 느낄 때 사람들의 건강, 행복, 생산성이 증진된다는 점이 입증됐습니다.
이 세 가지 필수 요소 중에서도 관계성, 즉 타인과 연결되고자 하는 바람은 항상 조직들이 육성하기에 가장 까다로운 대상이었죠. 관계성은 능력 있는 직원들을 끌어당기는 힘입니다. 하지만 정확히 어떻게 사람들이 서로를 좋아하게 만들 수 있는 걸까요?
코로나19로 인해 관계성 구축은 더욱 어려워졌습니다. 업무 시간과 장소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재택근무가 자율성에 있어서는 호재였지만, 동료들과 물리적으로 멀어지게 되면서 동료와 긴밀한 개인적 유대를 갖는 일은 힘들어졌죠.
하지만 최근의 연구를 보면 뛰어난 성과를 발휘하는 팀들은 팬데믹 시기에도 성공에 동력을 공급하는 사회적 연결고리를 절묘한 방식으로 마련해왔음이 드러납니다. 여기서 우리는 조직이 원격 또는 하이브리드 근무 환경에서도 더 큰 연대감과 유대감을 구축하여 뛰어난 성과를 내는 팀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한 중요한 실마리를 얻을 수 있죠.
지난여름 동안 필자의 이그나이트80(ignite80) 팀은 커뮤니케이션 소프트웨어 기업 프런트(Front)와 제휴해 미국 소재 사무실 근로자 110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했습니다. 우리의 목표는 뛰어난 성과를 보이는 팀들이 보이는 다른 점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이었죠.
우리는 고성과를 보이는 팀 구성원을 파악하기 위해 응답자가 (1) 자신이 속한 팀의 합목적성(effectiveness) 및 (2) 팀의 성과를 업계의 다른 팀과 비교하도록 하였습니다. 자신의 팀에게 두 항목 모두에서 10점 만점에 10점을 준 근로자들은 고성과 팀 구성원으로 분류되었고, 필자의 연구팀은 이들의 행동을 다른 이들과 비교할 수 있었죠.
그렇다면 뛰어난 성과의 팀들은 뭘 어떻게 다르게 하는 걸까요? 위 연구 결과 다섯 가지 핵심 차별점이 드러났습니다. 이들 모두가 긴밀한 유대감이 팀 성과에 중추적 역할을 한다는 것을 강조해주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