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인사조직

다양성의 가치를 다시 제안하라

디지털
2025. 1. 7.
Nov24_19_BrianRea

필자는 엔지니어들과 함께 일하면서 이들이 더 나은 ‘신호 대비 잡음비signal-to-noise ratios’를 추구하는 것을 직접 목격했다. 비공학적인 용어로 ‘신호signal’는 우리가 원하는 것이고 ‘잡음noise’은 그 외의 모든 것이다. 신호는 우리가 수행하거나 전달하려는 입력값이고 잡음은 원하지 않았거나 의도하지 않은 결과물이다. 아이디어나 단어에 잡음이 많다는 건 뭘 의미할까? 원래의 신호가 대중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손상돼 사람들이 실제로 그것이 의미하는 바를 명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현재 ‘인공지능AI’이라는 용어에는 잡음이 가득하다. 열 명에게 AI의 의미를 묻는다면 각자의 개인적 상황, 몸담은 산업, 정치적 이념 등에 따라 열 가지 다른 대답을 내놓을 것이다.

신호와 잡음의 은유는 직장 내 다양성에 대한 뜨거운 논쟁을 이해하는 데 특히 유용하다.

‘다양성diversity’이라는 단어 자체는 정의가 매우 다양하다. 그만큼 다양한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이는 다양성의 영역에서 신호가 매우 약하거나 잡음이 많다는 의미다. 그리고 오늘날의 정치적 양극화 상황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더욱 악화되고 있는 듯하다. 필자는 강연이나 컨설팅을 할 때 종종 리더들에게 "팀에 다양성이 중요한 이유가 무엇인가요?"라고 묻곤 한다. 이 단순한 질문이 똑똑한 리더들조차 당황하게 만든다. 뜸을 들이다 다양한 대답이 돌아오는데 대부분 잡음이 가득하다.

다양성을 구성하는 훨씬 더 좋은 방법이 있다. 이를 통해 팀과 회사에 명확한 투자 대비 수익ROI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성을 위한 일반적인 가치 제안

먼저 세 가지 일반적인 다양성 가치 제안에 대해 논의한 다음 생산적인 대안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자.

아티클을 끝까지 보시려면
유료 멤버십에 가입하세요.
첫 달은 무료입니다!

최신 매거진

(03187) 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1 동아일보사빌딩 (주)동아일보사
대표자: 김재호 | 등록번호: 종로라00434 | 등록일자: 2014.01.16 | 사업자 등록번호: 102-81-03525
(03737) 서울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동아일보사빌딩 15층 (주)동아미디어엔(온라인비즈니스)
대표이사: 김승환 | 통신판매신고번호: 제 서대문 1,096호 | 사업자 등록번호: 110-81-47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