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인사조직

리더는 팀의 성과를 홍보할 줄 알아야 한다

디지털
2025. 3. 11.
Jan25_18_2180588533

당신과 팀이 일을 훌륭하게 하는 것만으론 충분하지 않다. 보여주고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팀의 기여를 보여주는 것은 자랑이 아니다. 사람들이 마땅히 받아야 할 인정을 받고 더 나은 리소스와 기회, 그리고 승진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략적 커뮤니케이션이다.

어떻게 하면 뽐내지 않으면서도 팀을 옹호할 수 있을까? 상사(그리고 그들의 상사)에게 직원들의 기여를 알릴 수 있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그리고 어떻게 하면 팀원들에게 공로를 공정하게 분배할 수 있을까?


전문가들의 조언

스페인 나바라대University of Navarra IESE 비즈니스 스쿨의 세바스티앙 브리온Sebastien Brion 교수는 팀원들의 가시성visibility 확보를 돕는 것은 팀원들의 성장과 성공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리더로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말한다. 그의 연구에 따르면 성과가 우수한 직원은 자신의 업무가 다른 사람에게 가시화될 때 더 많은 동기를 부여받고 더 나은 성과를 낸다고 한다. 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기여도를 인정받은 팀원들은 회사에 장기 근속하는 경향이 있다. "최고 인재는 자신이 과소평가됐다고 느끼면 회사에 충성하지 않습니다"라고 브리온은 말한다. "따라서 그들이 마땅히 받아야 할 인정이나 빛을 발할 기회를 주지 않는다면 그들은 자신을 인정해 줄 상사를 찾아 떠날 겁니다."

또한 임원 코치이자 팟캐스트 진행자이며 <The Visibility Factor>의 저자이기도 한 수잔 바버Susan Barber에 따르면 팀이 뛰어난 성과를 내는 것이 리더에게도 긍정적으로 반영된다고 한다. 당신은 팀의 잠재력을 키우고 개발하는 능력뿐만 아니라 팀을 관리 능력이 출중하다는 점도 피력할 수 있다. 그녀는 "다른 사람들이 당신의 팀이 제공하는 가치와 당신이 조직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 알도록 하는 것"이 목표라는 점을 기억하라고 말한다. 다음과 같이 그 방법들을 소개한다.

팀을 이해한다

우수한 관리는 팀원 개개인의 강점, 관심사, 야망 등 팀원을 진정으로 이해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자신의 역할과 기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직원들과 이야기를 나누는 것에서 출발하자. 무엇이 그들을 움직이게 하는지, 어떤 기술을 개발하고 싶은지, 어떻게 커리어를 발전시키고 싶은지 알아보자.

브리온은 "사람들이 자신을 어떻게 바라보고,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고 싶어 하는지 이해해야 그들이 원하는 바에 맞춰 업무를 홍보할 수 있습니다"라고 조언한다. 결국 "팀원 중 한 명이 데이터 분석 능력이 뛰어나더라도 앞으로 그 분야에서 일하는 것에 관심이 없다면 데이터 분석의 우수성을 강조하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가시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채널을 만든다

다음으로 팀의 성과를 보여줄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생각해 보자. 브리온은 동료들과의 캐주얼한 대화, 상급 관리자와 함께 진행하는 연말 평가, 상사와 공유하는 정기적인 서면 진행 보고서, 부서 회의나 회사 전체 행사에서의 공개적인 인정 등 폭넓게 생각하라고 조언한다. 그는 "특히 조직 내에서 의사소통으로 손꼽히는 그룹이 되고 싶다면 이처럼 성과를 업데이트하는 기회를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고 말한다.

바버는 성과를 소구할 청중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인다. 조직 내 핵심 인물들과 관계를 구축하면 팀의 인지도를 높일 수 있다. 그는 직장에서 ‘영향력 있는 사람들’과 ‘의사결정권자의 신뢰를 받는 사람들’과 연결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영향력에 집중한다

브리온은 팀원들의 기여를 어떻게 표현할 것인지에 대해 다음의 세 가지 질문에 답할 것을 제안한다. 그들이 조직에 어떻게 기여하는가? 그들이 개인적인 성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상사에게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

이 중에서도 마지막 항목이 중요하다. 브리온은 "성과 평가나 보너스 구조와 관련해서 그들의 업무가 대화 상대인 리더의 이익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생각해 보세요"라고 말한다. 또한 그는 언제나 그렇듯이 당신의 목표는 상사의 성공을 돕기 위해 팀을 지원하는 것이며 이는 당신과 승진을 원하는 팀원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한다.

바버는 소설가들에게서 힌트를 얻어 칭찬할 때는 "말하지 말고 보여주세요show, don’t tell"라고 덧붙인다. 현재 벌어지고 있는 일들을 사례로 활용하고 팀원들이 해결 중인 문제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하자. 그녀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상사가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들의 눈앞에 영화 필름을 펼쳐 놓듯 생생하게 보여주세요"라고 말한다. "특히 그리고 고객의 긍정적인 피드백은 10배의 가치를 지닙니다."

과장이 아닌 사실을 공유한다

일부 관리자는 허풍쟁이로 보일까 봐 상사에게 팀 성과를 알리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바버는 특히 여성 관리자들이 자신과 팀의 성과를 강조하면 “뻔뻔한 자기 홍보자shameless self-promoters”로 인식될까 봐 걱정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한다. 하지만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망설임은 의도치 않게 자신의 직업적 가시성을 낮추고 경력 발전을 제한할 수 있다.

그렇다면 해결책은? ‘사실’에 기반한 인정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다. 바버는 "사실을 공유하면 상대방이 불쾌감을 느끼지 않고 과장되게 들리지 않습니다"라고 이야기한다. 브리온은 "X는 이것을 했고, Y는 저것을 했습니다"와 같이 개인의 노력과 구체적인 기여를 집중적으로 조명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우리 팀’에만 초점을 맞추는 자기중심적인 태도는 피해야 한다고 덧붙인다.

비판을 경계한다

당신이 무심코 내뱉은 한마디에 팀원들을 둘러싼 내러티브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미처 예상하지 방식으로 만들어지기도 한다. 이러한 영향은 긍정적일 수도 있고 부정적일 수도 있다. 바버는 경력 초기에 이러한 경험을 했다. 그녀는 업무 능력이 뛰어난 한 팀원이 이번 업무에서 "조금 고전하고 있습니다"라고 무심코 말한 적이 있다. 그런데 그 사람의 승진 시기가 됐을 때까지도 사람들이 그 인식을 오랫동안 고수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바버는 그러한 인식을 바로잡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야 했다.

요점은 팀의 기여도를 더 잘 드러내기 위해 노력할 때는 신중하게 말해야 한다는 것이다. 바버는 이렇게 말한다. "여러분은 자신이 내뱉은 말의 무게를 깨닫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무해해 보이는 코멘트라도 누군가의 평판을 높이거나 깎아내릴 수 있는 힘이 있습니다."

협업을 촉진하고 노출 기회를 창출한다

팀원들의 업무에 관심을 끌도록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다른 팀 및 관리자와 협업하고 교류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들이 자신의 보다 큰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조건에서 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세요. 그들을 더 큰 조직에 노출시키는 거죠"라고 브리온은 말한다. "이를 통해 새로운 기회를 파악하고 향후에 잠재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고위 관리자와 연결될 수 있습니다."

바버는 팀원들이 협업과 역량에 대한 평판을 쌓을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을 권장한다. "다른 이들과 함께 조명 받을 수 있는 기회를 공유하세요"라고 그녀는 말한다. 다른 부서와의 프로젝트를 주도적으로 이끌고 여러분을 대신해 회의에서 팀을 대표하도록 격려하라. "이렇게 하면 팀원들에게 신뢰를 주고 팀원들이 여러분의 지지를 받고 있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전략적으로 공로를 분배한다

팀 내에서 공로를 공정하게 배분하고 편중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일부 개인이 다른 사람보다 더 눈에 띄는 것은 불가피한 일이다. 바버는 "가끔 팀 전체의 성과에 대해 이야기할 때도 있지만 대부분의 팀원은 각자 맡은 일을 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하며 특정 팀원이 자연스럽게 눈에 띄게 된다고 말한다.

주도적이며 적극적으로 승진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있다. 바버는 "이런 사람들은 강한 역량을 지니고 있고 더 많은 일을 하고 싶어 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더욱 의지하게 됩니다"라고 말한다. 그런가 하면 승진을 바라지는 않지만 팀에 안정적으로 기여하는 팀원도 있다.

브리온은 궁극적으로 직원들과 그들의 커리어에 대한 열망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직원들이 무엇을 원하고, 무엇을 잘하는지 이해하며, 그들이 원하고 마땅히 받아야 할 인정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기억해야 할 원칙

해야 할 일

• 팀원 개개인의 야망과 강점을 이해하는 데 시간을 투자하라. 이는 목표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팀원의 프로필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 일상적인 대화, 성과 평가, 서면 진행 보고서, 공개적인 인정 등 팀의 성과를 보여줄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라.

• 팀원들이 다양한 팀과 관리자에게 노출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다른 사람들이 팀원들의 역량과 기여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라.

해서는 안 될 일

• 자랑하는 것처럼 보일지 모른다는 두려움이 발목을 잡지 않도록 하라. 사실과 구체적인 사례를 사용해 팀의 성과를 집중 조명하라.

• 팀원들에 대한 사소한 발언이 미치는 영향을 과소평가하지 마라. 무해해 보이는 발언도 인식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발언에 신중을 기하라.

• 모두를 동등하게 대하기 위해 노력하지 마라. 대신 팀원 개개인의 경력 목표에 맞춰 팀원의 강점과 성과를 홍보하라.


원문 | https://hbr.org/2025/01/how-to-make-your-teams-work-more-visible

레베카 나이트는 변화하는 직업과 직장의 본질에 관한 모든 것에 대해 글을 쓰는 저널리스트이다. 그녀의 에세이와 아티클은 보스턴글로브, 비즈니스인사이더, 뉴욕타임스, BBC, 크리스천 사이언스 모니터 등에 실렸다. 2023년에 옥스퍼드대의 로이터연구소Reuters Institute 펠로로 최종 선정됐다. 또한 뉴욕, 런던, 보스턴의 파이낸셜타임스에서 편집자 겸 기자로 10년가량 근무한 바 있다.

에디팅 김민수

최신 매거진

(03187) 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1 동아일보사빌딩 (주)동아일보사
대표자: 김재호 | 등록번호: 종로라00434 | 등록일자: 2014.01.16 | 사업자 등록번호: 102-81-03525
(03737) 서울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동아일보사빌딩 15층 (주)동아미디어엔(온라인비즈니스)
대표이사: 김승환 | 통신판매신고번호: 제 서대문 1,096호 | 사업자 등록번호: 110-81-47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