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혁신

우주개발의 포문 연 '플랫폼 접근법'

디지털
2023. 3. 7.
Nov22_10_52031376199_b0bbb965a5_o_51492841472_b0fa12ae7a_o_40126460511_7b5cc64871_o_31433487787_9626c695dd_o

우주탐사 프로젝트, 다시 말해 ‘로켓 발사’라고 하면 다들 한 번으로 끝인, 맞춤형 대형 프로젝트라고 여겼다. 대표적인 예가 나사(NASA) 로켓 사업이다. 나사는 각 로켓 발사를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퀀텀 점프(quantum leap)’나 ‘빅뱅(big bang)’을 위한 일회성 대형 투자 사업으로 취급했다. 나사의 패스파인더(Pathfinder) 미션 매니저 도나 셜리(Donna Shirley)는 그동안의 나사 프로젝트를 가리켜 “옛날 옛적의 위대하고 장엄한 미션”이라고 표현했다.

문제는 지금까지 다양한 미션을 진행해왔지만 각 미션이 연속성 없이 매번 독립적으로 진행돼왔다는 점이다. 그래서 이전 프로젝트 부품과 시스템 업데이트는 고사하고 다음 프로젝트에 재사용하는 게 불가능했다. 매번 새로운 미션으로 다시 구상했다.

이에 따른 부작용은 1992년 9월 발사한 나사의 마스 옵저버(Mars Observer) 미션에서 잘 드러난다. 화성의 지리와 기후를 탐사할 목적으로 설계된 마스 옵저버는 기획부터 개발까지 무려 17년이 걸렸다. 2000년대 기준으로 13억 달러 이상의 비용이 들었다. 출시까지 오래 기다리고, 많은 돈을 들여야 했던 프로젝트였다. 하지만 탐사선이 주 로켓 엔진을 발사한 다음 감속해 화성 궤도에 진입하기 사흘 전인 1993년 8월21일, 나사 제트추진연구소(JPL) 비행 관제팀은 탐사선과 통신이 끊겼다. 결국 탐사는 실패로 끝났다. 어느 프로젝트에서나 일어날 수 있는 일이다. 하지만 나사는 실패한 경우는 물론 탐사가 성공했더라도 모든 부품과 시스템을 처음부터 다시 설계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탐사선 프로젝트들은 비용은 물론 시간 역시 많이 소요될 수밖에 없었다.

이런 상황에서 새로운 민간 우주 기업들이 새로운 로켓 개발 패러다임을 선보이고 있다. 로켓 시스템을 ‘플랫폼’으로 보는 것이다. 재사용과 복제 가능한 부품과 설비를 제작해 일단 소규모 프로젝트로 시작한다. 그런 다음 빠르게 확장해나가는 전략을 취했다. 최근 HBR 아티클에서 설명했듯이 이는 획기적인 비용 절감으로 이어져 우주개발의 문을 활짝 열어젖혔고 수요가 늘자 투자도 늘었다. 이런 민간 우주 기업의 전략을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플랫폼, 어떻게 작동할까?

애플,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테크 기업의 기반은 플랫폼이다. 에어비앤비와 이베이, 우버도 마찬가지로 다면 비즈니스 플랫폼(MSP·Multisided platform)이라는 생각지 못한 발상으로 투자자들을 사로잡았다. 에어비앤비는 호텔 객실을 소유하지 않고, 이베이도 물류 창고를 소유하지 않는다. 우버도 보유한 택시가 없지만 구매자와 판매자 등 다양한 관계자들의 거래가 대규모로 활발히 이뤄진다. 이 때문에 학계 일부에서는 플랫폼을 좁게는 "시장 형성으로 이어지는 저자본(capital-light) 디지털 시스템"으로 정의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플랫폼은 단순한 디지털 현상이 아니다. 플랫폼이라는 용어가 정립되고 여러 업계에서 플랫폼 모델을 활용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다. 특히 자동차와 운송 업계에서 플랫폼 도입이 유독 두드러졌다. 다양한 파트와 서브 시스템, 인터페이스, 프로세스를 조합해 구조화하고, 이를 각양각색의 관계자와 표준과 거리가 먼 이례적인 요소들이 공유하도록 해 체계적인 거래가 가능하도록 설계했기 때문이다.

글로벌 운송의 컨테이너화를 살펴보자. 글로벌 운송 플랫폼에서는 20피트, 40피트 컨테이너와 크레인, 선박, 인공위성, 등대 등이 거래 대상이다. 거래 당사자들도 선박 회사, 항만운영사, 운송 업체, 규제 당국 등 다양하다. 그런데 이미 높은 수준으로 균일화, 표준화된 컨테이너와 달리 선박은 아직도 규격 등이 제각각이다. 하지만 글로벌 운송 플랫폼 프로토콜이 있기에 질서정연한 거래가 가능해진다.

플랫폼의 구성 요소는 물론이고 그 구성 요소와 사용자 사이 인터페이스도 상당히 표준화됐다. 이 덕분에 사용자와 구성 요소가 쉽게 플랫폼에 진입할 수 있어 플랫폼의 성장 속도가 빨라진다. 플랫폼이 커지면 그 기능성도 커진다. 스마트폰을 생각해보자. 모바일 은행과 루트맵, 스트리밍 서비스, 전화 통화, 메신저 서비스 업체 등 다양한 관계자가 참여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복잡하고 거대한 생태계가 형성된다.

최종 결과는 놀랍다. 플랫폼이 활성화된 시장은 속도와 품질, 비용, 접근성 측면에서 더 뛰어난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변화의 속도가 느린 곳은 플랫폼을 도입하지 않기에 자연스레 와해(disruption)된다.


민간 우주 기업의 플랫폼 도입은 어떻게 전개될까?

아티클을 끝까지 보시려면
유료 멤버십에 가입하세요.
첫 달은 무료입니다!

최신 매거진

(03187) 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1 동아일보사빌딩 (주)동아일보사
대표자: 김재호 | 등록번호: 종로라00434 | 등록일자: 2014.01.16 | 사업자 등록번호: 102-81-03525
(03737) 서울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동아일보사빌딩 15층 (주)동아미디어엔(온라인비즈니스)
대표이사: 김승환 | 통신판매신고번호: 제 서대문 1,096호 | 사업자 등록번호: 110-81-47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