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게 변화하는 세상에서 더 짧은 시간 내에 더 많이 이루고, 더 큰 성과를 내야 한다는 압박이 직장인들을 지치게 만든다. 전문 서비스 기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응답자 대부분이 자신의 업무에 대해 ‘매우 힘들고 지치며 혼란스럽다’고 표현했다. 또한 장시간 근무가 직업적 성공을 위해서는 필수라고 당연하게 받아들였다. 이런 결과는 5만6000명 이상의 직원을 대상으로 한 또 다른 글로벌 노동력 조사의 결과와도 일치한다. 해당 조사에서 응답자의 45%는 지난 1년간 업무량이 크게 늘었다고 답했으며 절반 이상은 직장에서 변화가 지나치게 빠르게 진행된다고 느꼈다.
이처럼 끊임없는 속도전은 ‘서두름 증후군hurry sickness’, 일명 조급증이라 불리는 현상을 초래했다. 이 용어는 1974년 심장병 전문의 마이어 프리드먼Meyer Friedman과 R.H. 로젠먼R.H. Rosenman이 처음 사용한 개념이다. 성취 지향적인 A형 성격(혈액형이 아님)이 심혈관 건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설명하기 위해 도입됐다. 조급증은 공식적인 의학 질환은 아니다. 하지만 참을성이 없고 만성적으로 서두르며 늘 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등의 행동과 감정을 포함하며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조급증의 근본적인 원인은 과로를 조장하는 업무 문화, 과도한 인센티브, 끊임없는 조직 변화 등에서 비롯되며 이를 해결할 책임은 궁극적으로 기업에 있다. 하지만 개인 스스로 이를 완화할 방법도 있다. 이 글에서는 조급증이 미치는 심각한 영향을 살펴보고 시간과 마음의 여유를 되찾는 실질적인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조급증은 왜 위험한가
끊임없이 바쁘고 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생활 방식에서 오는 불안과 만성 스트레스는 고혈압, 두통, 불면증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고혈압과 불안·우울 증상은 심혈관 질환과 사망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잘 알려져 있다. 대규모 메타 연구에 따르면 심리적 고통이 클수록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이 증가하며 이는 연령, 체질량지수BMI, 흡연, 신체 활동, 음주 등을 고려하더라도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