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자기계발

비즈니스 글쓰기에도 기준이 필요하다

디지털
2025. 9. 3.
Aug25_06_2161170395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은 성과를 내는 조직의 핵심 기반이다. 원격 근무 시대에 따른 슬랙Slack·팀즈Teams·왓츠앱WhatsApp·사내 디지털 게시판 등 다양한 협업 도구가 확산하며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하지만 많은 리더들은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명확한 규범을 마련하지 못해 결국 번아웃과 비효율적인 온보딩, 시간 낭비, 생산성 저하를 초래하고 있다.

몇 가지 사례를 살펴보자. 한 관리자가 의사결정 회의를 앞두고 세부 내용에 관한 메시지를 보냈지만 아무도 읽지 않았다. 평소 슬랙을 거의 활용하지 않는 한 동료는 줌 미팅 공지가 슬랙으로만 전달되는 바람에 긴급한 미팅을 놓쳤다. 이메일 본문에 요약이 포함되지 않은 여섯 쪽짜리 문서를 받은 한 CEO는 결재를 미룰 수밖에 없었다. 또 다른 리더는 이사회 준비를 위해 다섯 개 사업 부서에서 다섯 개의 보고서를 받았다. 각기 내용이 다른 부분이 있어 이를 정리하느라 몇 시간을 허비했다.

이와 같은 사례들은 커뮤니케이션 규범이 불분명할 때 발생하는 갈등 상황을 보여준다. AI 기반 글쓰기가 보편화되면서 문서화된 커뮤니케이션의 양은 더욱 늘어날 것이다. 따라서 가독성을 우선순위에 둔 명확한 규범을 세우는 일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글쓴이가 사람이든 AI든 혹은 양자가 협업한 결과물이든 독자가 정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

우리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주제로 수백 건의 무작위 실험을 진행했고 미국 육군,마이크로소프트, 메이요 클리닉, 유수의 스타트업 등 수십 개 조직을 대상으로 글쓰기 문화를 개선하기 위해 코칭을 해왔다. 그 과정에서 리더와 팀이 효과적인 글쓰기 문화를 구축하고 앞서 언급한 문제들을 피하기 위해 반드시 다뤄야 할 몇 가지 핵심 주제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아티클을 끝까지 보시려면
유료 멤버십에 가입하세요.
첫 달은 무료입니다!

최신 매거진

(03187) 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1 동아일보사빌딩 (주)동아일보사
대표자: 김재호 | 등록번호: 종로라00434 | 등록일자: 2014.01.16 | 사업자 등록번호: 102-81-03525
(03737) 서울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동아일보사빌딩 15층 (주)동아미디어엔(온라인비즈니스)
대표이사: 김승환 | 통신판매신고번호: 제 서대문 1,096호 | 사업자 등록번호: 110-81-47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