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운영관리

창업가를 위한 아이디어 공장, '벤처 스튜디오'

디지털
2023. 3. 16.
Dec22_13_873966770

미국 중서부에 있는 작은 대학 근처에서 필자는 한 중간 규모 제조업체에서 떠오르는 스타였던 카를로스Carlos와 커피를 마시고 있었다.

카를로스는 소규모 팀을 이끌어 제품 라인을 성공시킨 경험이 있다. 하지만 10년 정도 다른 사람 밑에서 일하다 보니 직접 회사를 만들어 성장시키고 싶어졌다. 필자는 그에게 회사를 세우는 방법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지 물었다. 카를로스는 책에서 읽은 내용을 근거로 회사를 구축하고 자금을 조달하는 경로를 나름대로 설명했다. 첫째, 아이디어를 생각해낸다. 둘째, 팀을 구성한다. 셋째, 최소 실행 가능 제품(MVP)에 대한 테스트를 시작한다. 넷째, 시드 자금을 조달한다. 다섯째, 벤처 자금을 받는다.

카를로스는 3D프린팅 분야에서 그가 하는 일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자신의 지역에 시드 투자자가 있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벤처캐피털이 여전히 미국 동서부에 집중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그리고 자신의 아이디어가 과연 훌륭한지도 확신이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여전히 회사를 세우고 크게 키우고자 하는 열망을 품고 있었다.

디저트를 먹던 도중 카를로스가 물었다. “자금을 마련하는 것 말고 다른 창업 방법이 있을까요?” 필자는 즉시 “있다”고 답했다.

스타트업의 리스크를 낮추는 방법

지난 20년 사이 인큐베이터, 액셀러레이터, 벤처 스튜디오라는 세 가지 조직이 등장했다. 대부분 창업 경험이 있고 이론과 실제의 차이를 이해하는 경륜 있는 사업가가 설립해 운영한다. 이들은 창업 초기 스타트업이 제품을 개발하거나 시장을 찾고 초기 자본을 조달하도록 지원해왔다. 그러면서 실패 위험을 줄이도록 도왔다.

필자는 카를로스에게 와이콤비네이션Y-Combinator, 테크스타Techstars, 500스타트업500 Startups과 같은 액셀러레이터가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6~12주짜리 ‘부트 캠프’를 연다고 알려줬다. 이들은 기술과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통찰력이 있고 이미 팀을 꾸려 놓은 창업자를 찾는다. 액셀러레이터는 이런 팀에 기술과 비즈니스에 관한 전문 지식을 제공하고 창업자∙자문가 네트워크와 다리를 놓아준다.

이 부트캠프의 하이라이트는 참가한 모든 스타트업이 몇 분 동안 벤처 투자자와 엔젤투자자에게 회사를 홍보할 수 있는 ‘데모 데이’다. 때에 따라서는 액셀러레이터가 직접 초기 자금을 제공하기도 한다. 액셀러레이터에 참여하는 대가로 스타트업은 회사 지분의 5~10%를 포기한다.

전 세계에 액셀러레이터 수천 개가 있다. 이들은 벤처 수준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스타트업, 즉 수십억 달러 가치를 지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스타트업을 찾는다. 대부분의 액셀러레이터는 면접을 통해 대상 스타트업을 선정한다. 와이콤비네이션, 테크스타, 500스타트업과 같은 일부 액셀러레이터는 다양한 유형의 스타트업을 받는다. 반면 SOSV, 인디바이오IndieBio, 핵스HAX, 오르빗Orbit, 디랩dLab과 같은 곳은 보다 전문화돼 있다.

인큐베이터는 스타트업에 공간과 공유 리소스를 제공한다는 점이 액셀러레이터와 유사하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자본이 없거나 매우 적다. 스타트업에 공유 근무 공간, 자원, 다른 창업자와 운영 전문 지식에 대한 접근권을 부여하는 대가로 회비를 받는 것이 이들의 비즈니스 모델이다.

카를로스는 커피를 저었다. 그리고 “액셀러레이터는 내 커리어 상황에 별로 적합하지 않은 것 같군요”라고 말했다. “저는 끝내주는 아이디어나 기술팀이 없어요. 하지만 팀을 구축하고 키우고 관리하는 방법은 알고 있어요.”

벤처 스튜디오라는 대안

필자는 카를로스가 지닌 역량과 직접 사업을 하겠다는 열정에 더 잘 맞을 것 같은 ‘벤처 스튜디오’라는 조직이 있다고 알려줬다. 액셀러레이터와 달리 벤처 스튜디오는 이미 창업한 스타트업에는 자금을 지원하지 않는다.

벤처 스튜디오는 자체 아이디어나 파트너의 아이디어를 배양해 스타트업을 만든다. 벤처 스튜디오 내부 팀은 최소한으로 실행 가능한 제품을 만든 다음 제품∙시장 적합성을 평가하고, 초기 고객을 찾아내 아이디어를 검증한다. 아이디어가 고객 발견과 검증을 위한 일련의 심사를 거치고 나면 스튜디오는 이런 스타트업을 운영하고 확장해 줄 창업가를 모집한다. 벤처 스튜디오를 통해 탄생한 기업 예로는 오버츄어Overture, 트윌리오Twilio, 비틀리Bitly, 에어콜Aircall, 그리고 가장 유명한 모더나Moderna가 있다.

필자는 카를로스에게 벤처 스튜디오를 ‘아이디어 공장’이라고 생각하라고 제안했다. 직원이 상주하면서 제품과 시장 적합성, 반복과 확장이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찾아주는 공장 말이다.

벤처 스튜디오는 어떻게 돌아가는가?

앞서 말했듯 액셀러레이터나 인큐베이터와 달리 벤처 스튜디오는 기존 스타트업에 자금을 지원하지 않는다. 자체적으로 여러 스타트업을 만든 후 이를 인수해 성장시킬 기업가를 찾아주는 회사다.

0316(1)

대부분의 벤처 스튜디오는 해마다 여러 스타트업을 만든다. 이들은 액셀러레이터나 전통적인 벤처 펀드 회사에서 나오는 스타트업보다 성공률이 더 높다. 6~12주 주기로 돌아가는 액셀러레이터와 달리 벤처 스튜디오는 기간을 따로 정해두지 않기 때문이다. 대신 이들은 제품과 그에 적합한 시장을 찾아낼 때까지 탐색하고 피벗한다. 액셀러레이터나 VC 회사와 달리 벤처 스튜디오는 견인력을 찾을 수 없는 대부분의 아이디어를 폐기한다. 확장 가능성과 수익성 이 희박하다면 아예 스타트업을 시작하지 않는다.

스타트업 자금 조달 옵션 비교

벤처 스튜디오는 아이디어나 팀은 없지만 스타트업을 운영하고 성장시키고자 하는 기업가에게 적합하다. 벤처 스튜디오 직원들은 제품, 시장 적합성, 초기 고객을 이미 식별했다. 다른 누군가가 신규 벤처의 초기 위험을 많이 제거해 뒀다는 뜻이다. 낮은 위험에 대한 대가로 벤처 스튜디오는 일반적으로 더 많은 지분을 가져간다.

0316(2)

벤처 스튜디오는 주로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미국 프런티어 기금America’s Frontier Fund과 같은 기술 이전 스튜디오는 회사나 정부 연구소와 협력해 아이디어와 지적 재산(IP)을 공급받는다. 그런 다음 IP를 이전하고 벤처 스튜디오 내에서 스타트업을 구축한다.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Applied Materials와 같은 기업 스튜디오는 사내에서 아이디어와 지적 재산을 공급받는다. 그런 다음 사내의 별도 기업 벤처 스튜디오에서 스타트업을 구축한다.
• 니치 스튜디오niche studio는 특정 업계와 특정 영역에서 자체 아이디어와 IP를 생성하는 독립형 벤처 스튜디오다. 의료 서비스에 초점을 맞추고 LS18을 배양한 플래그십 파이어니어링Flagship Pioneering이 대표적인 사례다. LS18은 훗날 모더나가 됐다.
로켓 인터넷Rocket Internet과 같이 특정 업계에 국한되지 않는 스튜디오industry-agnostic studio는 자체 아이디어와 IP를 생성하며 특정 업계와 특정 시장에 구애받지 않는 독립형 벤처 스튜디오다.

오늘날 세계적으로 720여 개의 벤처 스튜디오가 있다. 그중 절반은 유럽에 본거지를 둔다. 북미와 유럽의 수많은 벤처 스튜디오는 지역 발전을 위해 정부 기관이 제공하는 자금을 지원받고 있다. 때로는 기업의 기부금을 받기도 한다.

기업가는 왜 벤처 스튜디오에 합류할까?

필자가 두 번째 커피를 마실 때, 벤처 스튜디오가 만든 회사에 합류할 때의 단점, 즉 이들이 얼마나 많은 지분과 소유권을 가져가는지에 대해 카를로스에게 이야기해줬다.

스타트업 지분의 5~10%를 가져가는 액셀러레이터와 달리 벤처 스튜디오는 30~80%를 가져간다. 초기 단계 스타트업 프로세스에 존재하는 위험의 상당 부분이 제거된 상태의 스타트업을 넘겨받기 때문이다.

기업가가 회사 지분의 대부분을 기꺼이 포기하면서까지 벤처 스튜디오에 합류하는 이유는 뭘까? 대부분의 액셀러레이터는 대학을 갓 졸업했거나 전형적인 기술 전문가 같은 특정 유형의 창업자를 찾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대부분이 이 패턴에 들어맞지 않는다. 비록 이런 패턴은 아니지만 스트레스 테스트를 거쳐 검증받은 아이디어를 채택하고 구축할 수 있는 능력이 차고 넘치는 사람은 많다.

좋은 벤처 스튜디오를 찾기 위해 눈여겨볼 점

우리가 자리를 뜨려고 일어나는 사이, 카를로스가 물었다. “이 벤처 스튜디오가 괜찮은 곳인지 어떻게 알 수 있죠?” 훌륭한 질문이었다. 고정불변의 법칙은 없지만 필자는 기업가들에게 다음 네 가지 질문을 고려해 보라고 조언한다.

1. 스튜디오 운영자가 창업 경험이 있는가? 그리고 상근 직원 가운데 창업 경험이 있는 사람이 있는가? 매출이 1000만 달러 이상이고 직원 100여 명을 둔 회사를 키운 경험이 있는 기업가가 설립한 벤처 스튜디오가 가장 성공적이다.
2. 이들이 몇 퍼센트의 지분을 요구하는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이들이 생각하는 당신의 가치에 정비례할 것이다. 60% 이상을 요구하는 곳은 사실상 창업가가 아닌 직원을 채용하려는 것이나 다름없다.
3. 특정한 전문성을 갖춘 스튜디오를 원하는가? 특정 업계에 초점을 맞춘 스튜디오는 한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도메인 전문가(창업자, 어드바이저, 멘토 등)를 많이 제공해줄 수 있다.
4. 보유 자금이 충분한가? ‘좀비 스튜디오’를 조심해야 한다. 당신 회사의 대부분을 스튜디오에 넘겨줬다면 창업 후에도 지원받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몇 년 동안 회사를 지탱할 자금이 충분하지 않으면 자구책을 마련하는 수밖에 없다. 스튜디오가 1000만 달러 이상의 자금을 마련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몇 주 후 카를로스는 필자에게 메모를 보냈다. 자신이 사는 도시에 벤처 스튜디오가 하나 있고, 멀리에는 주 정부가 운영하는 벤처 스튜디오가 있다는 내용이었다. 제조업에 중점을 둔 벤처 스튜디오도 지역에 하나 있다고 알려줬다. 그는 이 세 군데에 모두 지원서를 넣었다.

[2022년 12월19일자 편집자 주: 본 기사 원문에 있던 벤처 스튜디오 설립 기업 목록에서 타불라Taboola는 삭제됐다.]




원문 | https://hbr.org/2022/12/entrepreneurs-is-a-venture-studio-right-for-you


스티브 블랭크(Steve Blank)는 스탠퍼드대 겸임교수, 컬럼비아대 선임 연구원, 캘리포니아대 버클리 캠퍼스 강사로 활동 중이다.

번역 장효선 에디팅 장선희


아티클을 끝까지 보시려면
유료 멤버십에 가입하세요.
첫 달은 무료입니다!

(03187) 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1 동아일보사빌딩 (주)동아일보사
대표자: 김재호 | 등록번호: 종로라00434 | 등록일자: 2014.01.16 | 사업자 등록번호: 102-81-03525
(03737) 서울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동아일보사빌딩 15층 (주)디유넷(온라인비즈니스)
대표이사: 김승환, 김평국 | 통신판매신고번호: 제 서대문 1,096호 | 사업자 등록번호: 110-81-47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