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전략 & 혁신

사회적 기업의 성공을 위한 두 가지 열쇠

매거진
2015. 5월호

img_20150423_120_1

 

Idea in Brief

 

문제점

경제적으로 한계에 이른 사회계층은 상황을 개선할 수 있는 정치적, 상업적 기회를 만들어낼 힘이 없다. 사회적 기업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다.

 

도전 과제

사회적 기업이 성공하려면 지속 가능한 재정을 이루어야 한다. 국민 세금이나 자선기부금이 끊임없이 투입돼선 안 된다.

 

해결 방안

스콜 어워드를 수상한 91개 사회적 기업에 대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기존 사회경제 시스템의 두 가지 주요 요소, 즉 관련 경제 주체와 실행기술에 변화를 준 사회적 기업이 성공했다.

 

 

사회적 기업가활동social entrepreneurship은 지난 수십 년간 잠재적인 사회변화 가능성을 확인하고 실제로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떠올랐다. 정부와 순수한 상업적 기업가활동business entrepreneurship, 사회적 기업이 합쳐지면, 그동안 활동범위가 너무 좁아 적극적인 입법활동을 촉구하고 민간자본을 유치하기 힘들었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사회적 기업이 성공하려면 사회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면서도 빠듯한 재정적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사회적 기업의 목표는 특정 계층의 사람들이 불이익을 당하는 기존 사회경제적 균형상태를 바꿔 이들의 삶의 질이 영구히 향상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데 있다. 시장을 통한 환경 문제 해결을 목표로 하는 친환경적 기업활동의 경우처럼, 일단 프로젝트 개념이 입증되면 좀 더 광범위한 계층의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대개 사회적 기업의 목표는 경제적으로 불리하고 한계에 이르러 외부의 지원 없이는 사회적 혹은 경제적 측면에서 미래를 바꿀 수 없는 사회계층을 도와주는 데 있다.

 

이런 노력들은 재무적으로 지속 가능성을 확보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새롭게 형성된 사회경제적 균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국민 세금과 자선 기부금이 끊임없이 투입돼야 한다. 게다가 이런 재무적 지원이 계속된다는 보장도 없다. 재무적으로 지속 가능한 상태가 되기 위해서는 사회적 기업 운영비용이 기업활동으로 혜택을 받는 사람 수가 늘어날수록 줄어들어야 한다. 이를 통해 사회적 기업은 규모가 커지더라도 자선사업이나 정부 지원에 의존하는 정도를 줄일 수 있다.

 

 

img_20150423_120_2
굿위브 인증마크

굿위브 마크가 붙은 카펫은 아동 노동력을 사용하지 않은 제품임을 인증한다.

 

 

img_20150423_120_3
아프가니스탄에서 일하는 굿위브의 공급망 검사관은 모두 여성이다. 카펫이 주로 가정에서 여성만 들어갈 수 있는 구역 안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사회적 기업이 수익사업을 운영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1970년대 말 방글라데시의 무함마드 유누스Muhammand Yunus는 자금을 확보해 극빈계층에 소액대출을 해주는 실험을 했다. 이 실험은 유명한 그라민은행으로 발전해 어려움에 처한 방글라데시인들에게 도움을 주면서 재정적으로도 지속 가능한 사회적 기업이 됐다. 빈곤에 빠진 사람들에게 대출을 해주면서도 상당한 이익을 낼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한 세계 곳곳의 다른 사회적 기업들은 그라민은행 모델을 도입, 유누스가 처음 시도한 혁신의 효과를 크게 확대했다.

 

 

아티클을 끝까지 보시려면
유료 멤버십에 가입하세요.
첫 달은 무료입니다!

관련 매거진

아티클이 실린 매거진

하버드비즈니스리뷰코리아 2015.5월호 이 결정이 최선일까? 17,000원 15,300원

아티클 PDF

하버드비즈니스리뷰코리아 2015.5월호 사회적 기업의 성공을 위한 두 가지 열쇠 5,000원
  • ※ 아티클 PDF 구매는 월별 제공되는 PDF 다운로드 권한을 모두 사용하신 1년 또는 월 자동결제 서비스 구독자에 한해 제공되는 서비스입니다.
  • ※ 아티클 PDF 다운로드가 필요하신 분께서는 HBR Korea 서비스 구독을 신청하세요!
(03187) 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1 동아일보사빌딩 (주)동아일보사
대표자: 김재호 | 등록번호: 종로라00434 | 등록일자: 2014.01.16 | 사업자 등록번호: 102-81-03525
(03737) 서울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동아일보사빌딩 15층 (주)동아미디어엔(온라인비즈니스)
대표이사: 김승환 | 통신판매신고번호: 제 서대문 1,096호 | 사업자 등록번호: 110-81-47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