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전략 & 데이터 사이언스

AI가 대규모 실업과 불평등을 가져올까

매거진
2024. 9-10월호
May24_24_1000200004_NOGLOBALNOCROSSPOSTING

AI가 대규모 실업을 초래할까? 대부분의 경제학자는 아니라고 주장할 것이다. 기술 때문에 수많은 사람이 일자리를 잃게 된다면 수세기 동안 여러 신기술이 등장했음에도 여전히 많은 일자리가 남아 있는 이유가 무엇이겠냐고 반문할 것이다. 이들은 새로운 기술이 경제의 생산성을 높이고 농업에서 제조업으로의 전환처럼 사람들이 새로운 분야에 진출할 수 있게 해준다고 주장한다.

이런 이유로 많은 경제학자는 역사적으로 기술 변화가 초래할 수 있는 혼란은 “은혜와 자비로움 사이의 어딘가에 있다”라는 데 대체로 동의해 왔다.

하지만 거의 매주 새로운 AI 모델과 도구가 출시되면서 이런 합의에 균열이 생기는 모양새다. 디지털 기술이 전 세계에서 불평등을 심화하는 데 일조했다는 증거가 쌓이고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가 지식근로자의 생산성을 높여주면서 사무직이나 행정보조원 같은 ‘중간 임금’ 노동자에 대한 수요가 감소했다. 이에 따라 일부 경제학자는 기술, 특히 자동화 기술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모델을 수정하기 시작했다. MIT의 대런 아세모글루Daron Acemoglu와 보스턴대 파스칼 레스트레포Pascual Restrepo는 최근 논문에서 “생산성을 높이는 기술 발달이 실제로는 모든 근로자의 임금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이 과소평가돼 왔다”고 지적했다.

자동화에 대한 새로운 경제학적 관점은 기술이 장기적으로는 노동자의 생산성을 높여 임금을 높인다는 핵심 아이디어를 유지한다. 이전의 경제학과 다른 두 가지 중요한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을 사용해 기존 업무를 자동화하는 것과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완전히 새로운 역량을 창출하는 것에는 큰 차이가 있다. 둘째, 기술의 경로는 부분적으로 기술을 어떻게 사용할지를 누가 결정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데이비드 오터David Autor MIT 경제학과 교수는 “AI는 노동자를 보조하고 업무를 개선할 수 있는 방대한 도구를 제공한다. 우리는 이런 도구에 익숙해지고 그것이 인간에게 유리하게 작동하도록 만들어야 한다”고 말한다.

경제학자들은 모델을 통해 세상을 이해한다. 이런 모델은 현대 경제의 복잡하고 광범위한 현실을 포착하려고 하지만 의도적으로 단순화돼 있다. 목표는 경제를 형성하는 핵심요인과 절충점을 설명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모델은 종종 정책 입안자들이 주목해야 할 사항이 무엇인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오늘날 경제학자들은 자동화에 대한 모델을 수정해 나가면서 기술이 노동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생각은 물론 정치인과 규제당국이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바꾸고 있다.


교육과 기술 사이의 경주

아티클을 끝까지 보시려면
유료 멤버십에 가입하세요.
첫 달은 무료입니다!

관련 매거진

아티클이 실린 매거진

하버드비즈니스리뷰코리아 2024.9-10월호 Embracing Gen AI at Work 25,000원 22,500원

아티클 PDF

하버드비즈니스리뷰코리아 2024.9-10월호 AI가 대규모 실업과 불평등을 가져올까 5,000원
  • ※ 아티클 PDF 구매는 월별 제공되는 PDF 다운로드 권한을 모두 사용하신 1년 또는 월 자동결제 서비스 구독자에 한해 제공되는 서비스입니다.
  • ※ 아티클 PDF 다운로드가 필요하신 분께서는 HBR Korea 서비스 구독을 신청하세요!
(03187) 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1 동아일보사빌딩 (주)동아일보사
대표자: 김재호 | 등록번호: 종로라00434 | 등록일자: 2014.01.16 | 사업자 등록번호: 102-81-03525
(03737) 서울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동아일보사빌딩 15층 (주)동아미디어엔(온라인비즈니스)
대표이사: 김승환 | 통신판매신고번호: 제 서대문 1,096호 | 사업자 등록번호: 110-81-47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