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재무회계

탄소 상쇄권을 위한 회계

매거진
2023. 7-8월호
JulAug23_FEA_Kaplan_1

CLIMATE CHANGE

탄소 상쇄권을 위한 회계

오늘날 탄소 거래 시장을 개선하는 데 필요한 견고한 보고 원칙




AUTHORS

로버트 S 캐플런 하버드경영대학원 석좌교수
카르틱 라마나 옥스퍼드대 교수
마크 로스턴 스탠퍼드대 연구원

ILLUSTRATOR CHRISTIAN GRALINGEN



내용 요약

 문제 
탄소 거래 시장은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으며 탄소 상쇄권의 거래가 약속한 성과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발생 원인 
탄소 상쇄권이 탄탄한 프로토콜과 적절한 회계 메커니즘에 따라 모니터링되지 않는다면 대기 중 온실가스를 줄이려는 시장 기반 접근방식이 왜곡과 사기에 취약해질 것이다.

 해결책 
본 글은 5가지 회계 원칙을 기반으로 정확하고 감사 가능한 탄소 상쇄권의 회계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앞의 2가지 원칙은 무엇이 탄소 상쇄권으로 간주되고 거래될 수 있는지를 규정하며, 나머지 3가지 원칙은 탄소 상쇄권에 대한 기본적인 회계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JulAug23_FEA_Kaplan_2



최근 한 언론은 탄소 상쇄 시장에서 거래되는 대부분 상품이
실제로 대기 중 온실가스를 제거하는 양이 미미하다고 주장했다.




인류가 만든 온실가스의 대부분은 에너지를 생산하는 화석연료 연소, 에너지 목적이 아닌 산업용 화학 공정, 농업 등 3가지 이유 때문에 발생한다.

‘청정’ 에너지 기술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세계는 여전히 화석연료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오늘날 온실가스 배출량의 25% 이상을 차지하는 농업 및 산업용 화학 공정 없이 사회를 지속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은 없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전략으로 대기 중 온실가스 제거를 고려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광합성 같은 자연적 프로세스나 탄소 광물화mineralization 같은 기술을 활용하면 대기 중의 온실가스를 포집할 수 있다. 기업, 비영리단체 및 정부 기관은 ‘넷제로net zero’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자체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단이 부족하기에 보다 효율적인 탄소 격리carbon-sequestration 공정과 기술을 갖춘 조직과 계약해서 그들이 감축한 온실가스를 구매해야 한다. 이것이 ‘탄소 상쇄권carbon offset’이라는 상품이다.

이론적으로 탄소 상쇄권을 사고파는 경쟁 시장에서 최소 비용으로 최대한의 온실가스를 포집할 수 있는 비교우위를 갖춘 조직에 자금이 공급돼야 한다. 하지만 아쉽게도 현재까지 탄소 상쇄권 시장은 기존 원자재 및 금융 시장처럼 효율적이지 않다. 실제로 최근 한 언론의 조사결과 탄소 상쇄권 시장에서 거래되는 상품 대부분에서 실제로 대기 중에서 제거하는 온실가스 양이 미미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온실가스 포집량을 측정하는 작업이 매우 어려운 것도 문제다. 예를 들어 숲이 생산 연령에 걸쳐 탄소를 정확히 얼마나 포집하는지를 어떻게 측정해야 할까? 나무가 포집한 탄소 1kg과 암석이나 토양에 저장된 탄소 1kg이 동일한가? 포집된 탄소가 나무나 지하에 격리되는 기간과 현재 배출된 이산화탄소가 대기 중에 머무르는 기간이 동일한가?

이런 계량의 문제뿐 아니라 탄소 상쇄권 시장의 회계 책임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점도 도덕적 해이를 일으킨다. 판매자들은 탄소 상쇄권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탄탄한 프로토콜을 갖추지 않은 채 탄소 포집 상태가 유지돼야 하는 기간에 그것이 유지되도록 보장하는 데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 다른 한편 구매자들은 자체적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직접 관리하는 데 소홀한 채 탄소 상쇄권을 구매하면 모든 책임을 면할 수 있다고 믿는 유혹에 빠질 수 있다. 탄소 상쇄권 계약이 적절한 회계 처리와 감사를 거치지 않는다면 온실가스를 감축하려는 이런 시장 기반 접근방식은 왜곡과 사기에 취약해질 수밖에 없다.

우리는 이번 글에서 대기 중 탄소를 제거하는 데 필요한 정확하고 감사 가능한 회계 체계를 개괄적으로 제시한다. 이 글에서 소개하는 회계 원칙은 2021년 HBR에 실린 ‘기후변화를 위한 회계’가 소개한 것처럼 상품 생산 주기 전반에 걸쳐 배출되는 온실가스의 양을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E(Environmental, 환경)-부채’ 방법론을 확장한 것이다.

우리가 제시하는 원칙은 정확한 측정 및 검증을 거친 탄소 상쇄량을 환경 대차대조표상 E-자산으로 어떻게 인식해야 하는지, 어떤 경우에 이런 E-자산이 E-부채를 상계할 수 있는지, 또 어떤 경우에 상쇄 손상(사전에 E-대차대조표에 기록된 탄소 포집량을 줄이는 것)을 반영하도록 조정해야 하는지를 명시한다. 다른 상품와 마찬가지로 건전한 회계 원칙이 자리 잡아야 탄소 상쇄권이 거래되는 시장 관행과 제도도 견고하게 발전할 것이다. 시장이 원활하게 작동할 때 경쟁이라는 보이지 않는 손으로 상쇄 기술의 혁신과 보급이 보다 빠르게 이뤄지고 결과적으로 대기 중 탄소 절감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현재 상쇄권 거래 방식의 주요 이슈를 살펴보자.

아티클을 끝까지 보시려면
유료 멤버십에 가입하세요.
첫 달은 무료입니다!

관련 매거진

아티클이 실린 매거진

하버드비즈니스리뷰코리아 2023.7-8월호 Gen AI and the New Age of Human Creativity 25,000원 22,500원

아티클 PDF

하버드비즈니스리뷰코리아 2023.7-8월호 탄소 상쇄권을 위한 회계 5,000원
  • ※ 아티클 PDF 구매는 월별 제공되는 PDF 다운로드 권한을 모두 사용하신 1년 또는 월 자동결제 서비스 구독자에 한해 제공되는 서비스입니다.
  • ※ 아티클 PDF 다운로드가 필요하신 분께서는 HBR Korea 서비스 구독을 신청하세요!
(03187) 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1 동아일보사빌딩 (주)동아일보사
대표자: 김재호 | 등록번호: 종로라00434 | 등록일자: 2014.01.16 | 사업자 등록번호: 102-81-03525
(03737) 서울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동아일보사빌딩 15층 (주)동아미디어엔(온라인비즈니스)
대표이사: 김승환 | 통신판매신고번호: 제 서대문 1,096호 | 사업자 등록번호: 110-81-47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