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화 기술이 발전했지만 인간 작업자가 최소한으로 개입하면서도 생산적이고 유연한 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약속은 현실과 거리가 멀다.
원인
자동화 기술은 제한적으로 채택된다. 기업이 자동화에서 얻는 생산성 증가의 편익은 프로세스 유연성에서 손실되는 경향이 있어 결과가 제로섬이 된다.
해결책
포지티브섬 자동화는 기계, 시스템, 팀이라는 3가지 수준에서 성공을 측정한다. 자동화를 통해 인간 팀이 더 행복해지고 업무를 더 잘 수행할 수 있게 된다면 성공이라고 볼 수 있다.
1982년 GM은 ‘미래의 공장’을 짓겠다고 발표했다. 미시간 주 새기노에 지어질 이 시설은 생산 자동화를 통해 일본 자동차 제조사 도요타, 닛산과의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 GM의 사업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GM은 2년 전 7억6300만 달러의 손실을 기록했다. 72년 역사상 두 번째로 큰 손실이었다. CEO 로저 스미스는 도요타 공장을 방문한 뒤 GM이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반드시 자동화를 이루겠다고 결심했다.
새기노 프로젝트는 4000대의 로봇 군단을 통한 생산 자동화를 계획했다. 생산성과 유연성을 높이는 것이 목표였다. 로봇을 통해 5년 생산주기에서 최대 2년을 단축하고 GM의 다양한 모델들끼리 전환이 가능하도록 계획했다. 직원 생산성은 300% 높아지고 수작업 시스템과 인터페이스가 사라질 것이다. 로봇은 매우 효과적이어서 사람이 거의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심지어 공장에 불을 켤 필요조차 없을 것이다.
GM의 ‘깜깜한 공장’ 실험은 엉망이었다. 로봇을 이용한 미래의 공장은 수천 명의 노조 노동자를 고용하는 공장보다 생산비가 높았다. 로봇은 자동차 모델을 잘 구분하지 못했다. 뷰익 범퍼를 캐딜락에 부착하거나 캐딜락 범퍼를 뷰익에 부착하려고 했다. 도장 공정에서도 문제를 일으켰다.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자동차에 페인트를 분사하는 대신 로봇들끼리 페인트를 칠했다. GM은 1992년 새기노 공장을 폐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