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ATURE MANAGING YOURSELF
나 자신에게 관대해지기: 자기자비의 힘
세리나 첸
IDEA IN BRIEF
▶ 문제점 우리는 어려움을 겪으면 방어적인 태도로 남을 비난하거나 혹은 나 자신을 질책한다. 두 가지 모두 좋은 방법이 아니다.
▶ 시사점 연구에 따르면 우리는 자기자비를 가지고 자신을 대해야 한다 자신을 친절하게 대하고 평가하지 않으며 누구나 실패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고 실수에 집착하지 않아야 한다.
▶ 효과 자기자비는 개선이 가능하다는 믿음을 주고 발전하고자 하는 욕구를 키워 성장 마인드셋을 향상시킨다. 또한 자신을 보다 진정성 있게 대하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
|
분기 매출 실적이 저조하거나 승진에서 누락되거나 직장 동료와의 관계에서 갈등을 겪는 등 직장에서 위기를 겪으면 우리는 흔히 두 가지 중 하나의 반응을 보인다. 방어적인 태도로 남을 비난하거나 자기 자신을 질책한다. 그러나 두 가지 모두 좋은 방법이 아니다. 방어적 태도로 책임의식을 회피하면 실패의 쓰라린 고통은 줄어들지만 학습 기회를 잃는다. 반면 자책은 그 순간에는 당연한 반응으로 생각되지만 자신의 잠재력을 부정적으로 평가하게 되면서 개인의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
만약 그러한 상황에 처한 것이 내가 아니라 내 친구라고 생각해 보면 어떨까? 아마 우리는 문제를 겪고 있는 친구를 따뜻하게 위로해 주고 공감해 주며 용기를 북돋아 줄 것이다. 스스로에 대해 이런 식으로 대하는 태도를 자기자비self-compassion라고 한다. 최근 자기자비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심리학에서는 건강한 노후 생활에서 운동선수 훈련에 이르기까지 여러 상황에서 자기자비가 성과를 향상시키는 데 유용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나와 동료 연구원들은 자기자비를 통해 직장에서 어떻게 성장할 수 있는지를 연구했다.
자기자비는 자존감self-esteem이나 자신감self-confidence보다 생소한 개념이다. 자기자비가 높은 사람이 일반적으로 자존감도 높기는 하지만 자기자비는 자존감과는 다른 개념이다. 자존감은 주로 타인과 나 자신을 비교할 때 나타난다. 반면 자기자비는 타인이나 자신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가치self-worth를 깨달아 자신을 진심으로 아끼게 하고 문제를 극복할 수 있게 해 준다.
자기자비를 지닌 사람은 세 가지 행동양식을 보인다. 첫째, 자신의 실패나 실수를 평가하기보다는 인간적으로 공감하고 이해한다. 둘째, 사람은 누구나 실패할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한다. 셋째, 자신이 실패나 실수했을 때 드는 부정적 감정에 대해 균형적 시각을 갖는다. 즉, 자신에 대해 부정적 감정이 드는 것은 허락하나 이에 휩싸여 헤어나오지 못하게 두지 않는다.
미국 텍사스대 크리스틴 네프Kristin Neff교수는 자기자비의 세 가지 요인을 평가하는 조사방법을 개발했다. 연구원들은 어떤 성격적 특성과 행동이 자기자비와 연관성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이 조사방법을 이용했다. 그 결과, 자기자비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자신을 개선하고자 하는 동기부여가 더 강력하게 나타났고, 자신을 진실하게 대하는 진정성을 더 뚜렷하게 보였다. 이 두 가지 모두 성공적 경력 개발에 중요한 요인이다. 좋은 소식은 이 두 가지 특성 모두 자기자비를 통해 개발하고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아티클을 끝까지 보시려면
유료 멤버십에 가입하세요.
첫 달은 무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