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자기계발

바쁜 사람들은 어디서 즐거움을 찾아야 할까

매거진
2025. 7-8월호
169_2
Illustrations by ANNA HURLEY


MANAGING YOURSELF

바쁜 사람들은 어디서 즐거움을 찾아야 할까
5가지 전략이 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만족스러운 삶을 살기 위해서는 세 가지를 주기적으로 느껴야 한다. 성취감(타인의 인정이나 무엇인가 완수했다는 느낌), 의미(나보다 더 큰 무엇인가와 연결됐다는 감각), 즐거움(행복이나 긍정적 감정)이다. 나는 이 세 가지를 얼마나 잘 느끼고 있을까?

우리가 조사한 결과 성공한 직업인의 상당수가 처음 두 가지는 괜찮거나 아주 좋은 수준을 보였지만 세 번째 즐거움은 확실히 부족했다. 성취감과 의미는 일이나 가정에서 자연스레 얻는 경우가 많았지만 즐거움을 주는 경험은 극히 드물고 휘발성이 강했다.

프라이빗에쿼티펀드의 파트너로 일하며 세 아이를 키우는 기혼여성 마리아를 보자.(여기 나오는 이름은 모두 가명이다.) 보통 오전 9시면 마리아는 이메일 답장, 보고서 검토, 아이들 등교를 이미 마쳤다. 정오까지 여러 회의를 주재하고 중요한 의사결정 몇 가지를 끝냈으며 멘토링 통화를 마치고 문자로 카풀 일정도 조율한 상태다. 저녁에는 노트북을 닫고 휴대폰을 한쪽으로 치우고 가족과 함께 저녁을 먹고 아이들을 재우지만, 이후 몇 시간 더 일하기 위해 다시 노트북을 켠다. 동료들은 어떻게 회사일과 집안일을 다 해내냐며 혀를 내두른다. 마리아의 스케줄표는 온갖 생산적인 활동과 의무로 빼곡하지만 휴식을 취하거나 즐거운 일을 할 시간은 없다.

팀도 비슷한 사정이다. 업계 상위 컨설팅 회사에서 시니어 파트너로 일하는 팀은 지난 20년 동안 클라이언트와 동료들을 위해 최선을 다했다. 남편이자 아버지로도 충실했다. “가족들이 나를 필요로 한다는 느낌만큼 가슴 벅찬 일도 없습니다.” 팀은 말한다. 그는 일과 가정 모두에서 성취감과 의미를 느꼈다. 하지만 업무를 잘 하려면 기본적으로 회사에서 긴 시간을 보내야 하는 데다 출장도 잦았다. 여기에 숙제 도와주기, 등하교 시키기 등 매일 아이들 치다꺼리까지 하다 보면 순수하게 행복을 느낄 만한 시간이 없었다.

즐거움은 왜 이렇게도 누리기 힘들까?

일단 시간 때문이다. 최근 우리가 하버드경영대학원 졸업생 가운데 풀타임으로 일하는 기혼자 1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173페이지 ‘연구에 대해’ 참고) 응답자들은 주당 평균 50시간을 업무에, 12시간을 업무 이외의 일에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고 먹고 씻고 출퇴근하는 시간을 제외하면 주당 평균 26시간, 하루 평균 3시간 남짓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여가 시간이었다.

아티클을 끝까지 보시려면
유료 멤버십에 가입하세요.
첫 달은 무료입니다!

관련 매거진

아티클이 실린 매거진

하버드비즈니스리뷰코리아 2025.7-8월호 갈등지능형 리더 25,000원

아티클 PDF

하버드비즈니스리뷰코리아 2025.7-8월호 바쁜 사람들은 어디서 즐거움을 찾아야 할까 5,000원
  • ※ 아티클 PDF 구매는 월별 제공되는 PDF 다운로드 권한을 모두 사용하신 1년 또는 월 자동결제 서비스 구독자에 한해 제공되는 서비스입니다.
  • ※ 아티클 PDF 다운로드가 필요하신 분께서는 HBR Korea 서비스 구독을 신청하세요!
(03187) 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1 동아일보사빌딩 (주)동아일보사
대표자: 김재호 | 등록번호: 종로라00434 | 등록일자: 2014.01.16 | 사업자 등록번호: 102-81-03525
(03737) 서울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동아일보사빌딩 15층 (주)동아미디어엔(온라인비즈니스)
대표이사: 김승환 | 통신판매신고번호: 제 서대문 1,096호 | 사업자 등록번호: 110-81-47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