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적인 수의 사람들이 직장을 떠나면서 업종 불문 빈 자리를 메우는 데 고군분투하고 있다. 사람들을 다시 일터로 불러들이기 위해 조직은 오랫동안 고수해 온 정책을 바꾸고 전례 없는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내용 요약
문제점
퇴사자 수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결원을 채우기 위해 필사적으로 애쓰는 기업들은 급여 인상부터 트렌디한 혜택까지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지만 이런 개입만으로는 부족하다. 진짜 문제는 직장이 스트레스를 주고 무의미하며 전혀 좋아할 만하지 않다는 점이다.
해결 방안
기업은 개개인의 고유한 기량과 열정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즉 직원을 조직의 주요 이해관계자로 삼고 최대한 성과 관리 도구를 표준화하지 않으며 직원들이 자신만의 방식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음을 신뢰해야 한다.
이점
직원이 자기 직업의 모든 면을 사랑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연구에 따르면 약간의 노력만으로 직원들의 번아웃을 줄이고 업무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 이 아티클에 소개된 원칙들을 일부 수용하기 시작한 기업들은 직원 근속률과 전반적인 성과가 모두 개선되는 효과를 봤다
운송회사는 장거리 운전사들이 트럭 운전대로 돌아오도록 하기 위해 임금을 인상했다. 캘리포니아 공립 학교들은 은퇴교사들이 교원자격증 재교부 없이도 학교로 복귀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최고경영자(CEO)와 최고인사책임자(CHRO)는 경쟁사보다 더 매력적인 탄력근무제를 제공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하지만 이런 시도들은 근본적인 문제를 간과하고 있다.
아티클을 끝까지 보시려면 유료 멤버십에 가입하세요. 첫 달은 무료입니다!
Copyright Ⓒ 하버드비즈니스리뷰 코리아.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