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콘텐츠
보기
최신
주제별
전략
인사조직
마케팅
재무회계
혁신
자기계발
운영관리
리더십
젠더
데이터 사이언스
위기관리
지속가능성
인기
매거진
구독
Premium
동영상
맴버십 세미나
로그인
구독
/회원가입
하버드비즈니스리뷰
동아비즈니스리뷰
HBR Global Editions
HBR ORG
HBR BRAZIL
HBR CHINA
HBR FRANCE
HBR GERMANY
HBR ITALY
HBR JAPAN
HBR POLAND
HBR RUSSIA
HBR SOUTH ASIA
HBR TAIWAN
HBR TURKEY
관심분야 변경
관심분야
변경하기
주제별
전략
인사조직
마케팅
재무회계
혁신
자기계발
운영관리
리더십
젠더
데이터 사이언스
위기관리
지속가능성
회원님의 관심 주제를 등록하고 주제별 최신 콘텐츠를 메인 페이지에서 바로 확인하세요!
+ 관심 주제 등록하기
자유시장은 맞벌이 부모에게 실망을 안겼다
통계로 보는 미국, 한국 부모들의 육아휴가 현황
젠더 & 자기계발
매거진
2021. 3-4월호
아빠들도 나서야 한다
화목한 가정을 위한 워킹대디 가이드라인
젠더 & 자기계발
매거진
2021. 3-4월호
젠더 다양성과 투자 실적은 상관관계가 있을까?
젠더 다양성을 확보한 펀드들은 다른 펀드들보다 오히려 사회적 리스크를 지는 투자를 더 과감하게 한다는 것이 연구 결과 밝혀졌다.
젠더 & 지속가능성
디지털
2021. 2. 23.
LIFE’S WORK 티나 터너
불교에 귀의한 흑인 팝스타 이야기
젠더 & 자기계발
매거진
2021. 1-2월호
스포츠와 사회 정의
NBA는 왜 흑인인권엔 민감하고 중국인권엔 둔감할까
혁신 & 젠더
매거진
2021. 1-2월호
남성이 다른 남성의 성차별 문제를 제기하려면
남성이 동성의 성차별에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지만, 반드시 필요한 일이다. 그 노하우를 소개한다.
젠더 & 인사조직
디지털
2020. 11. 9.
진지하게 다양성을 논하기
다양성을 추구해야 하는 이유? 그것이 옳은 일이니까.
젠더 & 인사조직
매거진
2020. 11-12월호
우리 브랜드가 인종차별적이라면
케이스스터디: 베스트셀링 위스키 '노예 감시인'의 사례'
젠더 & 마케팅
매거진
2020. 11-12월호
다양성 연대를 구축하라
내가 우리 회사 '성골'이라면, 비주류 직원들과 어떻게 친해질 수 있을까
젠더 & 인사조직
매거진
2020. 11-12월호
인생 후반전을 맞이한 50대를 위한 조언
자녀의 독립, 세월의 내공, 재정적 여유가 합쳐진 50대야말로 커리어를 꽃피울 최적의 시기다
자기계발 & 젠더
디지털
2020. 10. 26.
슈퍼맘이 되고픈 워킹맘을 위한 조언
마음먹은 대로 안되는 게 당연하다. 일부러라도 웃을 일을 만들어보자.
젠더 & 자기계발
디지털
2020. 9. 7.
남녀 밥그릇 싸움은 이제 그만
넷플릭스의 포용 정책 담당 이사가 직장 내 성평등을 좌우하는 리더십을 말하다.
젠더
디지털
2020. 8. 18.
성적 괴롭힘 방지 프로그램이 역효과를 내는 이유와 그 해결책
잠재적 가해자 취급받고 싶어하는 사람은 없다. 접근법을 뒤집어라.
인사조직 & 젠더
매거진
2020. 5-6월호
무엇이 진짜로 여성의 커리어를 가로막는가?
육아휴가? 남자부터 보내야 한다. 진짜 문제는 과로문화다
마케팅 & 젠더
매거진
2020. 3-4월호
금융인의 시각으로 본 양성평등 문제와 개선책
존 리 메리츠자산운용 대표가 멜린다 게이츠를 응원하는 이유
혁신 & 젠더
매거진
2020. 1-2월호
여성의 공직 출마율과 당선율을 높이는 방법
결국 문제는 돈이다. 초기 기부금을 모아주자
혁신 & 젠더
매거진
2020. 1-2월호
성희롱 문화 뿌리뽑기
개인의 범죄 때문에 회사도 한 방에 사라질 수 있다
인사조직 & 젠더
매거진
2020. 1-2월호
벤처투자자가 여성의 성공을 결정한다
엄마의 옷차림에서 영감을 받은 여성 VC의 이야기
인사조직 & 젠더
매거진
2020. 1-2월호
성평등은 멀리 있지 않다
멜린다 게이츠가 나섰다. 여성에게 더 많은 권력을!
전략 & 젠더
매거진
2020. 1-2월호
직장여성에게 아름다운 외모는 마이너스 요인이다
안타깝지만 현실이다. 당신의 동료들은 당신이 평범한 외모이기를 바란다
자기계발 & 젠더
매거진
2019. 11-12월호
여성의 자기인식이 커리어에 도움이 안되는 이유
자기인식self-awareness은 21세기의 가장 기본적인 리더십 기술이다.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남들에게 어떻게 보이는지 아는 리더는 더 유능하고, 자신감 있고, 존경받으며, 승진 가능성도 크다. 비즈니스 리더들에게 자기인식에 관한 5년 이상의 조사연구 프로그램을 소개할 때 내가 가장 흔히 받는 질문 중 하나는 성별에 따른 차이 유무다. 먼저 조사자료를 살펴보면, 여성이 남성보다 자기인식의 이점을 조금 더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27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자기인식에 대한 여성의 자기평가 점수는 남성보다 (대단히 큰 차이는 아니지만) 약간 높은 것으로 나왔다. 다른 조사에서는 여성이 관리자들과 동료들뿐 아니라 직속 상관에게서도 자기인식이 더 높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여성은 자신의 직업적 성공과 발전을 위해 자기인식이 중요하다는 점을 더 잘 깨닫는다고 한다.
자기계발 & 젠더
매거진
2019. 7-8월호
여성의 멘토가 되길 꺼리는 남성을 위한 조언
#미투MeToo운동에 대해서 많은 남성 리더들은 “(여성에게 잘해 주다가) 나중에 후회하느니, 안전하게 가는 게 낫지”라는 태도를 보인다. 그래서 여성 직원의 멘토, 후견인, 도움 주는 선배가 되기를 거부한다. 이런 반발은 현실적 근거가 없다. 성범죄의 허위신고 비율은 약 2%로, 다른 모든 범죄의 경우와 비슷한 수준이다. 따라서 여성의 멘토가 되면 위험하다는 생각은 편견에 불과하며, 장기적으로 손해도 크다. 리더들이 여성 직원과 멘토링 관계를 맺는 것을 기피하면 여성직원들은 카운셀링, 자기계발, 자기표현, 시야 확장 등의 기회를 박탈당하게 되며, 이는 조직의 미래에 심각한 악영향을 가져온다.
리더십 & 젠더
매거진
2019. 5-6월호
그것은 성희롱이었나?
언어 성희롱을 당한 것 같지만, 나와는 상의도 없이 제3자가 먼저 신고한다면? 내가 먼저 해결할 수도 있었을텐데? 딜레마에 빠진 한 직원의 이야기.
인사조직 & 젠더
매거진
2019. 5-6월호
여성이 직장에서 소외감을 느낄 때 관계를 구축하는 네 가지 방법
우리의 남성친구 하나가 최근 깨달은 사실이 있다. 당시 그는 저녁약속을 한 친구를 찾으려고 프라이빗 골프클럽 바 안을 돌아다니고 있었다. 어두운 빛깔의 칸막이로 꾸며진 바는 남자들로 득실거렸고, 그들은 모두 서로 아는 사이인 듯 보였다. 클럽 회원이 아니었던 우리 친구 윌은 조금 위화감을 느꼈다. 그런데 친구를 만나 테이블에 앉자 한결 편안한 기분이 들었다. 윌은 그제야 주위를 둘러보고는, 이 넓은 방에 있는 35명 가운데 겨우 대여섯 명만이 여자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비록 회원이라고 해도 이렇게 남자 일색인 곳에서 여자들은 눈에 확 띄었다. 윌은 아주 쉽게 무리에 섞일 수 있었다. 하지만 여자들은 그런 호사를 누리지 못했다.
자기계발 & 젠더
매거진
2018. 9-10월(합본호)
성별에 연연하지 않는 편이 여성에게 유리하다
최근 스탠퍼드대 조교수로 임명된 애슐리 마틴Ashley Martin과 컬럼비아대 캐서린 필립스Katherine Phillips교수는, 성별 차이를 중요하게 다루는 여러 표현을 놓고 사람들에게 얼마나 동의하는지 물었다. 그 결과 여성 고유의 특성을 치켜세우는 ‘성 의식gender awareness’을 지지하는 여성에 비해, 남녀간 차이보다 공통점에 주목하는 ‘성 중립성gender blindness’을 지지하는 여성이 더 큰 힘과 자신감을 느낀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자들은 다음과 같이 결론 내렸다.
자기계발 & 젠더
매거진
2018. 7-8월(합본호)
남성과 여성에 대한 사람들의 착각
최근 직장에서 여성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에 대해 많은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여성뿐 아니라 남성 임원들도 양성평등gender parity의 중요성에 대해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모두 바람직한 현상이기는 한데 한 가지 중요한 문제점이 숨어 있다. 양성평등과 관련해 여러 회사에서 추진하는 이니셔티브나 논의가 남성과 여성은 선천적으로나 후천적으로, 혹은 둘다로 인해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잘못된 믿음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남성과 여성은 생물학적으로 다르다. 그러나 양성평등 논의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생물학적 차이가 아니라, 여성은 성향, 태도, 행동에 있어 선천적으로 남성과 다르다는 인식이다. “왜 여성은 회사에서 X하는가” 혹은 “일하는 여성은 Y하지 않는다” 같은 헤드라인을 생각해 보라.
운영관리 & 젠더
매거진
2018. 5-6월(합본호)
여성이 남성보다 경쟁 압박에 더 잘 대응한다
테니스 경기에서는 보통 서비스권을 가진 서버server가 유리한 위치에 서는데요. 2010년 프랑스오픈, 호주오픈, US오픈, 윔블던 등 그랜드슬램 테니스 대회의 모든 첫 세트 서버들의 성적을 검토한 결과, 게임의 중요한 국면에서 남자 선수들의 성적이 여자 선수들보다 훨씬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일례로 게임스코어 4대4에서 남자 선수들의 서브 실패율은 동점이 된 후 7% 이상 높아졌습니다. 반면 여자 선수들은 동점 전후로 별 차이가 없었습니다. 경쟁 압박이 높아져서 성적이 떨어지더라도 여자 선수들의 저하율은 남자 선수들보다 평균 50%가 낮았습니다.
자기계발 & 젠더
매거진
2017. 11-12월(합본호)
여성들은 어디에
HBR은 세계 최고의 성과를 내는 100대 CEO 리스트를 올해로 4년 연속 발표합니다. (p. 31) 안타깝지만, 지난 3년 동안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올해도 여성 CEO들은 거의 눈에 띄지 않습니다. 리스트를 만드는 목적은 CEO의 장기적 성과를 측정하는 데 있습니다. 저희의 공식은 이렇습니다. 각 CEO가 전체 재임기간 중 달성한 조정된 총주주수익률과 시가총액 증가율을 조사합니다. 또 기업의 주가뿐만 아니라 다른 측면에서 경영자를 평가할 수 있도록 환경적, 사회적, 지배구조적(ESG) 성과를 측정한 서로 독립적인 2개의 랭킹도 평가 요소로 고려합니다.
운영관리 & 젠더
매거진
2016. 11월호
여성마저 남성이 더 창의적이라고 생각하는 이유는 뭘까?
듀크대에서 박사 과정을 밟고 있는 데본 프라우드풋Devon Proudfoot과 동료 애런 케이Aaron Kay, 크리스티 코발Christy Koval은 성별에 대한 편견과 창의성의 관계를 수차례 연구했다. 그중 한 연구에서 실험 참가자들은 특정한 성격적 특성이 창의성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평가했다. 그 결과에 따르면 남성과 여성 모두 창의성을 협조적 성향, 세심함 같은 ‘여성적’ 특성보다는 독립성, 대담성 같은 ‘남성적’ 특성과 연관 지었다.
인사조직 & 젠더
매거진
2015. 12월호
우수한 직장 여성에 관한 착각
20년 넘게 전문직 여성을 분석한 연구자로서, 우리는 최근 들어 급격하게 주목받고 있는 여성 커리어, 직장과 가정 생활 간의 갈등, 고위직에서의 성별 격차gender gap 논란에 대해 관심을 갖고 지켜봐왔다. 이런 문제가 공론화된 데는 2012년 <애틀랜틱>에 게재된 앤 마리 슬로터Anne-Marie Slaughter의 논문 ‘아직도 여성이 다 가질 수 없는 이유Why Women Still Can’t Have it All’와 셰릴 샌드버그의 저서 <린 인>이 결정적이었다. 이 두 건의 연구로 격렬한 공개토론의 불씨가 타올랐다.
인사조직 & 젠더
매거진
2014. 12월호
1
2
3
지금, 서비스 구독을 시작하세요!
사이트맵
최신
주제별
인기
추천
매거진
디지털
세미나
이벤트
고객센터
매체소개서
구독
정기 구독
낱권 구매
회원가입
이용안내
공지사항
자주 묻는 질문
구독 및 배송문의
1:1 문의
help@hbrkorea.com
매거진 광고 문의
jj0417@donga.com
마케팅 제휴
yms@donga.com
Premium 동영상
최신영상
베스트
전략/혁신
HR/리더십
마케팅
운영/재무
자기계발
사이트맵
Latest
Topics
Popular
HBR Curation
Magazine
Seminar
Event
고객센터
매체소개서
Subscribe
월 자동결제/연간 구독
낱권 구매
HBR SNS
Facebook
Instagram
Naver Post
이용안내
공지사항
자주 묻는 질문
전화/이메일 문의
- 구독 및 배송문의
E. help@hbrkorea.com
- 매거진 광고 문의
E. jj0417@donga.com
- 마케팅 제휴
E. yms@donga.com
HBR Premium
최신영상
베스트
전략/혁신
HR/리더십
마케팅
운영/재무
자기계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