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클 속 문장 >>코로나19로 인해 관계성 구축은 더욱 어려워졌습니다. 업무 시간과 장소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재택근무가 자율성에 있어서는 호재였지만, 동료들과 물리적으로 멀어지게 되면서 동료와 긴밀한 개인적 유대를 갖는 일은 힘들어졌죠. 하지만 최근의 연구를 보면 뛰어난 성과를 발휘하는 팀들은 팬데믹 시기에도 성공에 동력을 공급하는 사회적 연결고리를 절묘한 방식으로 마련해왔음이 드러납니다.
존 E. 캣소스(John E. Katsos),랜들 S. 피터슨(Randall S. Peterson),게리 P. 피사노(Gary P. Pisano) 외
아티클 속 문장 >>신뢰에 토대를 둔 관계는 깊은 사회적 유대를 형성해 기업을 지역사회 구조에 통합한다. 그 결과 기업은 가치 있고 모방하기 힘든 경쟁우위의 원천을 마련할 수 있게 된다. 현지에 대한 지식은 무엇보다 먼저 현지 행위자들이 필요로 하는 것에 대한 선입견이나 추정을 내려놓고 이들의 말에 귀를 기울일 때 쌓을 수 있다. 여기에는 이들이 마주한 정치•사회적 리스크뿐만 아니라 이들이 지닌 기술과 역량을 이해하는 과정도 포함된다.
앤드루 시필로브(Andrew Shipilov),벤야민 뮬러(Benjamin Mueller),램 차란(Ram Charan) 외
아티클 속 문장 >>성공적 디지털 혁신을 위해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은 디지털 혁신이 하나로 딱 떨어지는 단순한 대상이 아니라는 점이다. 많은 구성 요소의 집합이라는 점을 명확히 이해해야 한다. 각 요소에 적합한 리더와 리소스, 성공 판단 지표를 동반해 이 여정에 임한다면 성공적으로 디지털 혁신을 이뤄낼 수 있을 것이다.
H. 제임스 윌슨(H. James Wilson),H. 제임스 윌슨(H. James Wilson),토머스 H. 데이븐포트(Thomas H. Davenport) 외
아티클 속 문장 >>인공지능(AI)은 질병 진단, 번역, 고객서비스 등 ‘인간’이 수행하는 다양한 직무에 능숙해지고 있으며 개선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이런 현상은 AI가 경제 전반에서 인간의 노동력을 궁극적으로 대체할 것이라는 그럴듯한 두려움을 일으킨다. 하지만 이는 불가피한 것도 아니고 가능성이 높지도 않다. 디지털 도구들이 지금처럼 인간의 요구사항에 잘 대응하고, 인간 또한 디지털 도구에 이처럼 제대로 대응한 적은 없었다. AI가 설사 작업방식과 작업의 주체를 급격히 바꾼다 할지라도 이런 기술은 인간의 능력을 대체하기보다 그 능력을 보완하고 향상시키는 데 큰 영향력을 발휘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