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BR Korea 에디터가 시기에 맞는 주제 및 아티클을 직접 선정해 드립니다. 색다른 추천 리스트를 통해 비즈니스에 관한 HBR 아티클을 재미있게 만나보세요.
팬데믹 이후의 일터
린다 그래턴(Lynda Gratton),밥 프리시(Bob Frisch),마크 모텐슨(Mark Mortensen) 외
아티클 속 문장 >>팬데믹 이후 기업들은 놀라울 만큼 빠르게 가상 근무를 도입했으며 직원들은 언제 어디서나 일할 수 있는 유연성의 이점에 눈을 떴다. 이제 무엇이 가능한지를 깨닫게 된 기업들은 하이브리드 모델을 이용해 근무방식을 새롭게 정립할 수 있는 일생일대의 기회를 맞이했다.
아티클 속 문장 >>경영자에게 ‘애자일’은 더 이상 낯선 단어가 아니다.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으로 2001년 탄생한 애자일은 2018년을 전후해 경영계의 주목을 받으며 다양한 회사들의 선택을 받았다. 아마존, 구글, 넷플릭스 등 IT기업뿐만 아니라 ING은행, 알리안츠보험 등 금융사, 보쉬(Bosch), 사브(SAAB), 테슬라 같은 제조업체 등 다양한 회사들이 적극적으로 애자일을 받아들이며 혁신에 성공했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이라 불리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열풍과 맞물리면서 디지털 전환을 위해서는 애자일 도입이 필수인 것처럼 인식되기 시작했다. 이에 최근에는 대기업은 물론 중소기업, 심지어 공기업들도 애자일에 관심을 갖는 추세다.
루시 제노폰(Lucy Xenophon),바트 드 랑허(Bart De Langhe),마틴 리브스(Martin Reeves) 외
아티클 속 문장 >>전 세계 지도자들이 80억 인구를 대상으로 효율적이고 안전한 코로나19 백신 접종 방법을 고민하는 가운데, 실제 백신 접종 센터를 구성하는 작업은 수천 개의 지역 종합병원, 개인 병원, 보건소의 몫이 됐습니다. 물론 모든 경우에 적용되는 딱 하나의 정답은 없을 겁니다. 하지만 지속적인 개선과 린 경영 기법의 기본 원칙들을 바탕으로 로드맵이 돼 줄 핵심 요소들을 생각해볼 수는 있습니다.
크리스틴 무어맨(Christine Moorman),새라 윌슨(Sara Wilson),애나 안델릭(Ana Andjelic) 외
아티클 속 문장 >>소셜미디어를 통해 젊은 고객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마케터라면 접근 방법을 다시 생각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먼저, 폐쇄적이고 사적인 온라인 소통 공간의 고유한 특징을 파악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저는 특정 트렌드에 이름을 붙이면 쉽게 개념을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런 공간을 ‘디지털 캠프파이어’라고 부르고자 합니다.
제시카 케네디(Jessica A. Kennedy),라스무스 후가드(Rasmus Hougaard),브렌다 스타인버그(Brenda Steinberg) 외
아티클 속 문장 >>때로 리더들은 정말 비윤리적입니다. 원칙보다 이윤에 더 많은 관심이 있죠. 어떤 리더들은 심지어 의도적으로 높은 지위를 이용해 자신의 이득을 좇아 비윤리적 행동을 하고 그걸 감춥니다. 하지만 우리 연구는 왜 평소에는 도덕적인 사람들이 윤리적으로 의심스러운 결정을 내리는지에 대해 설명합니다. 특정한 상황이 되면 누구나 도덕적 잣대가 흔들릴 수 있다는 것, 그리고 높은 자리에 있다는 건 예정된 방향으로 행동하는 걸 훨씬 더 어렵게 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